영천시는 과수화상병 조기 발견과 감염 예방을 위해 10월까지 정밀예찰과 더불어 농업인 기술지도 및 현장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과수화상병은 전염이 빠르고 치료가 어려워 식물방역법에 따라 국가검역 병해충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발생 과원은 폐원하고 발생지에서는 3년간 사과·배 등 대부분의 과수를 재배할 수 없게 된다.  그동안 과수화상병 발생이 없었던 경북 지역에서도 지난해 안동시와 영주시 사과원에서 확진이 이어지면서 인근 지역으로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영천시는 올해 과수화상병 감염 예방을 위해 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사과 786호 474ha, 배 85농가 44ha 면적에 총 4차례 방제할 수 있는 예방약제를 배부했고 약제 살포 요령 리플릿 배포, 문자 발송, 작목반 교육, 현장지도 등을 통해 배부된 약제가 적기에 살포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또한 영천시는 지난 3월 과수화상병 사전 방제조치 이행 행정명령을 기존 5종에서 10종으로 강화해 시행하면서 과수화상병의 지역내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만약을 대비하여 영천시산림조합과 업무협약을 통해 신속한 발생지 매몰작업을 준비하는 등 발생 시 상황에도 대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과수화상병은 사전 예방이 최선이며 농가에서는 방제 작업과 예방 조치를 철저히 시행하고 의심증상 발견 시 농업기술센터로 지체 없이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식열 기자jsy92920@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