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 한복판 칠곡에서 대구 출신 청년부부가 낯선 새우 양식에 뛰어들어 매출 1억원을 올렸다. 청년의 도전과 행정의 지원이 맞물리며 칠곡군 제1호 `청년어촌정착지원사업`도 첫 결실을 맺었다.
주인공은 김연주(27)·홍성훈(33)씨 부부다. 지난해 8월 지천면 금호리에`하빈수산`을 설립한 이들은 내륙에서는 드문 새우 양식에 도전했다. 수산생명의학을 전공한 김씨는 `어의사` 자격을 갖춘 전문가였지만 초기에는 투자비만 늘고 수익이 없어 어려운 시기를 견뎌야 했다.
힘이 된 건 칠곡군의 `청년어촌정착지원금`이었다. 매달 110만원씩 1년간 지원된 생활자금이 버팀목이 됐다.
김씨는 "창업 초기엔 투자비만 들어가 수익이 비는 기간이 생기는데 이 지원금이 실제 생활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양식 품목으로 선택한 건 흰다리새우였다. 고가 어종인 광어나 장어처럼 수십억원의 초기 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4~5개월 주기로 출하가 가능해 청년 창업에 적합하다. 첫해에는 한 사이클만 운영해 3t을 수확, 약 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내년에는 두 차례 출하로 2억원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생태체험학습장을 마련해 교육·관광과 연계하는 6차 산업 확장도 준비 중이다.
김씨는 "젊은 세대가 쉽게 도전하지 않는 분야지만 색다른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며 "칠곡군청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친환경 양식으로 신선한 칠곡산 새우를 알리고 싶다"고 했다.
김재욱 군수는 "청년이 스스로 길을 낸 소중한 성과"라며 "대도시 인접성과 교통망이라는 칠곡의 장점에 행정 지원이 더해지면 더 많은 가능성이 열린다. 청년이 칠곡에서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계속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칠곡의 첫 청년어촌정착 사례는 하나의 성공담을 넘어선다. 이번 성과는 제2·제3의 청년 도전자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으며 더 많은 청년이 칠곡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홍달 기자song0317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