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숙(사진) 영주시의회 의원이 지난 9일 제29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식품 사막과 같은 영주시 농촌지역에 오아시스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를 시행하자"고 이색적인 제안을 해 눈길을 끌었다.  김화숙 의원은 "영주시의 9개 면 지역 중에 무려 7개 면의 고령화율이 50%를 넘었고 나머지 2개 면도 거의 50%에 육박해 영주시는 면 지역 전체가 고령화율이 매우 심각한 도시"라고 밝혔다.  또한 "200개의 행정리 중에서 같은 행정리 안에 식료품점이 있는 곳이 고작 14%에 불과해 나머지 86%의 행정리에 사는 주민들은 식료품을 구매하기 위해 다른 행정리나 아예 다른 읍면으로 이동해야 할 정도로 농촌지역의 식품 사막화 정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5분 자유발언의 배경을 언급했다.  이어서 김화숙 의원은 "`먹고 사는 문제는 가장 기본적인 인권`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민간부문이 경제성 논리로 인해 농촌지역에서 식료품점을 더 이상 운영하지 못한다면 공공부문이 적극 나서야 하거늘 집행부는 지금까지 거의 두 손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식품 사막과 같은 곳에 계시는 농촌지역 어르신들에게 건강하고 신선한 먹거리를 공급하는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 정책을 즉시 실천에 옮겨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화숙 의원은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많은 방안이 검토될 수 있겠지만 특히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 중인 `가가호호 농촌 이동장터`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지역 내 전통시장 상인회가 찾아가는 서비스 주체로서 역할 수행과 △지역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지역문제 해결 주체로서 역할 수행 그리고 △체계적인 수요조사와 시범사업 추진 이후 본 사업의 확장 등을 우선 검토해서 시행해 줄 것"을 집행부에 주문했다.  끝으로 김화숙 의원은 "농촌지역에 계시는 고령의 어르신들은 정보약자와 교통약자이기 때문에 이커머스 활용이 어렵고 이동에도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어 `찾아가는 식료품 서비스`를 시행하는 것이 식품 사막의 주민들에게 먹고 사는 것과 관련된 최소한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지름길"이라고 재차 강조하면서 이날 5분 자유발언을 마무리했다.  정휘영 기자jhy4430@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