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농업대전환` 핵심 사업인 들녘특구가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통한 규모화·기계화로 일반 벼농사 대비 두 배 이상의 농가소득을 올리는 가시적인 성과에 이어 6차산업 융·복합 고도화 전략으로 소득 증대 효과를 본격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경주시 천북면 성지리에 위치한 경주 식량작물 특구가 있다.
이곳은 콩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6차산업을 접목해 지난 6월 우리 농산물 새참 전문식당인 `들녘한끼 1호점`을 열어 6차산업 新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들녘한끼` 식당은 공동영농을 하는 110ha의 넓은 들녘에서 직접 생산한 우리밀과 콩을 활용해 관광객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새참메뉴를 개발했다.
그중 고소한 콩국수와 새콤한 냉면은 여름철 별미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순두부짬뽕(밥)은 꼭 먹어봐야 할 지역 대표 시그니처메뉴로 자리 잡으면서 이곳을 `성지콩밭 맛집`이자 우리 농산물의 성지(聖地)로 만들고 있다.
농번기에는 들녘으로 새참을 배달하고 지역 관광지나 펜션 등과 연계한 가족 단위 코스요리를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로 현재 하루 평균 200여명이 찾고 있으며 개점 2개월 만에 9000만원의 매출을 기록해 연간 5억4000만원 이상의 수익이 기대된다.
특히 요리에 사용되는 쌀, 고추, 가지, 양파 등 모든 농산물은 지역에서 생산하는 재료를 사용해 식당 방문객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고 지역 농업인과 상생하며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식당 외에도 특구에서 직접 가공해 판매하는 즉석두부와 콩물 역시 한 번 찾은 고객은 마니아가 될 정도로 재구매율이 높아 연매출 3억원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소비층이 더욱 두꺼워져 소득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11월에는 농촌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으로 경주를 찾은 관광객에게 생산에서부터 가공, 체험, 요리까지 한자리에서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6차산업의 새로운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경주 특구의 성공비결은 대형농기계와 드론 등 전문자격증을 보유한 청년농업인이 주축이 돼 파종부터 수확까지 전문적인 영농대행과 6차산업을 전담하고 법인이 생산물 수매와 유통·판매를 책임지는 체계적인 영농협업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했기 때문이다.
경주 식량작물 특구를 운영하는 최동식 광원영농조합법인 대표는 "조용하던 시골마을에 청년이 돌아와 활력이 넘치고 관광객 유입으로 소득이 높아지고 있다"며 "대한민국 대표 농업대전환의 모델이되는 들녁특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