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가 도내 최초로 발달장애인 직업훈련 연계 주택 운영으로 장애인 복지 선도에 적극 나선다.    시는 장애인의 복지 향상과 안정적인 생활 보장을 위해 무장애 도시 조성 등 장애인이 지역사회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    현재, 구미시의 등록 장애인은 총인구의 4.23%인 17,141명이다.  이에 시는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포용과 공정성을 실현하는데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상북도 발달장애인 훈련센터와 연계해 직업훈련생을 위한 주택을 지원하는 `발달장애인 직업훈련 연계 주택`은 현재 남·녀 각 1개소를 운영, 총 6명의 훈련생이 생활 중이며 졸업생 중 60%가 취업에 성공했으며, 고용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하는 모범적 다부처 협업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시는 고향 사랑 기금을 연계해 장애인 돌봄 공백 제로를 위한 긴급 돌보미 사업을 운영해 장애인 보호자의 병원 입원, 경조사 등 가구원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보호자를 대신해 장애인을 돌볼 수 있도록 1일 4시간, 연 50시간의 긴급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 친화 산부인과를 대구·경북 최초로 구미차병원에 지정했으며, 구미 시민과 함께 인근 지역의 여성장애인들을 포함한 모든 여성이 안심하고 임신과 출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시는 기존 특별교통수단과 함께 바우처 택시를 도입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강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바우처 택시는 일반영업 택시가 보행상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호출을 받아 이동 서비스를 지원하는 택시를 말하며, 비 휠체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관내에서 8시부터 22시까지 운행 중이다.  장애인의 복지증진과 권익향상을 위해 앞장서서 일하는 9개 장애인 단체의 30여 개의 보조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총 16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단체들은 사회참여 확대를 통한 능력개발과 자립을 지원하고 있으며, 시는 각 단체의 쾌적한 근무 환경을 위해 1억 5천만 원의 예산으로 최대 1억 원의 사무실 전세보증금과 최대 50만원의 월 임차료를 지원 중이다.  시는 장애인과 노인, 영유아, 임산부 등 전체 인구의 21%에 달하는 보행 약자를 포함한 모든 시민이 공공시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미형 무장애 도시 만들기에도 적극 나선다.  구미시 무장애 도시 조성 조례 일부 개정을 추진 중이며, 추진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통해 체계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총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뀬보행환경 뀬교통시설 뀬휴식 문화시설 등을 개선한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장애인을 위한 신규 시책발굴·지원으로 양질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키 위해 노력하겠다"며 "단단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이웃으로 함께 살기 좋은 구미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