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으로 대표되는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공습이 날로 거세지며 유통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포털은 물론 젊은 세대들이 선호하는 SNS를 중심으로 `광고 절반은 알리·테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공격적 마케팅을 전개하며 점유율 끌어올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착한 가격`은 `절대선(善)`이다.    중국 이커머스, 이른바 `C커머스`의 가장 큰 장점이 가격이다.    바다 건너오는 물건들이지만 국내 업체들보다 확연한 비교우위를 보인다.    그러나 C커머스의 영업방식이 수요·공급 외 문제들을 다수 야기하고, 그 문제점들이 하나같이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한다는 점에서 반발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대표적으로 국내 안전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위해·불법 제품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는 점이 지적된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제품에서 기준치를 300배 초과한 유해·발암 물질이, 장신구에서는 기준치의 700배에 달하는 중금속이 검출됐다.    요소수 대란이 벌어지자 이를 무력화하는 불법장치가 유입되기도 했다.    극히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한 조사란 점을 감안하면 위해·불법 제품의 유통 규모는 추정조차 어렵다.    관세청은 소포장으로 유입되는 천문학적 양의 직구제품 조사는 불가능하고, 검사·단속 여력도 없다고 항변하며 사실상 손을 놨다.    산업부 국표원과 공정위, 환경부 등 규제 부처들 역시 언론에 문제점이 지적되면 C커머스 업체에 `검색·판매 중단 협조` 공문을 보내는 수준의 대응에 그치는 실정이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간과할 수 없다.    C커머스 공습 부작용의 근본적 해결은 결국 법·제도 개선이다.    정부는 소비자와 시장의 목소리를 경청해 서둘러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현재 국무조정실 주도로 범부처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종합 대책을 마련 중인데 더욱 속도를 내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시장 혼란을 잠재워야 한다.    과도기 기간 중 대응책도 시급하다.    종합대책이 나와도 이를 법제화해 현장에 적용하는 시점이 언제일지는 가늠할 수 없다.    제도 공백 기간 부작용 최소화를 위해선 현 정부가 목소리를 높여온 부처칸막이 해소와 적극행정이 절실하다.    C커머스가 우리나라 유통 생태계 재앙을 초래하는 `교란종`이 될지, 업계 혁신의 `메기`가 될지는 정부 대응에 크게 좌우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