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공검면에서는 공갈못 복원을 위해 지난 25일 공갈못 역사관 전정에서 공갈못 습지·문화재 해제 비상대책위원회 발족식을 개최했다.
이날 공갈못 습지·문화재 해제 비상대책위원회 발족식은 150여명이 참여하고 공검면민의 염원인 공갈못 습지·문화재 해제를 위해 공검면 네 개 단체(발전협의회, 이장협의회, 바르게살기협의회, 농업인회)의 대표 및 시의원이 공동위원장으로 구성됐다.
지난 1993년에 복원된 공갈못은 1997년 9월 경북도 문화재 지정과 더불어 2011년 6월 습지지정 및 고시가 된 이후 문화재 규제 27년, 습지 규제 13년의 이중 굴레 속에서 건축 행위 시 높이 제한 등 주변 지역 개발 여건을 침해받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기관단체장 간담회에서 공갈못 명칭 통일, 연밥따는노래(채련요) 관련 단체 일원화를 시작으로 공갈못 복원(습지·문화재 해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으며 올해 3월 말 공갈못 습지·문화재 해제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돼 이날 발족식에 이르렀다.
공동위원장들은 "공검면의 발전을 가로막고 지방 소멸을 가속화시켜 온 공갈못 습지 및 문화재 지정의 폐해와 그로 인한 공검면민들의 고통을 널리 알리고 해제를 촉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고 힘줘 말했다.
또한 공검면민들의 염원이 담긴 결의문 낭독 및 구호를 제창했으며 습지·문화재 해제 건의문을 공검면에 전달하면서 습지·문화재 관련 부서에 전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임창완 기자changwan1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