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유기동물보호소가 유기동물들의 편안한 안식처가 되고 있다.  최근 3년간 경주에서만 총 3770마리의 동물이 유기됐으며 이 중 238마리는 주인에게 돌아갔고 1384마리는 새주인에게 입양됐다. 하지만 1049마리는 안락사되거나 질병 등으로 시설에서 죽음을 맞았다.  26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경주에서 버려진 유기동물의 입양률(반환율 포함)은 4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국 평균 42%(농림축산검역본부 통계 기준)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행히 올해 들어선 동물보호팀 신설과 함께 지난 1월부터 3월말까지 유기된 동물 200마리 중 반환된 동물은 17마리, 입양된 동물은 106마리로 총 123마리(61%)가 입양 또는 반환됐다.  이같은 성과는 경주시가 운영 중인 천북면 소재 `경주시유기동물보호소`의 활약 덕분인데 유기동물을 데려와 보살피는 것은 물론 새로운 주인을 찾아주는 이른바 `유기동물 입양센터`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오는 10월 신축 완공될 `경주시동물보호센터`가 문을 열게 되면 기존 유기동물보호소가 현재의 임시시설에서 신축시설로 자리를 옮기게 되는데 공간이 더 늘어나고 쾌적해지는 만큼 각종 행사 등을 통해 유기동물과 시민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입양률이 지금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특히 시는 유기동물의 입양률을 높이기 위해 1마리당 최대 20만원까지 병원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같은 반려동물 정책이 긍정적인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입양 관련 자세한 내용은 경주시청 동물보호팀(054-779-6305)으로 문의하거나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하면 된다.  주낙영 시장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며 키우는 반려인들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시에서도 지역사회와 함께 다양한 동물복지 사업을 적극 추진해 사람과 동물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경주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주시 유기동물보호소, 입양센터 역할 '톡톡'..
경상북도·지역

경주시 유기동물보호소, 입양센터 역할 '톡톡'

경상투데이 기자 lsh9700@naver.com1742호 입력 2021/04/26 19:07수정 2021.04.26 19:18
10월 동물보호센터 신축 완공
각종 행사·반려동물 정책 추진


경주시 유기동물보호소가 유기동물들의 편안한 안식처가 되고 있다.

 최근 3년간 경주에서만 총 3770마리의 동물이 유기됐으며 이 중 238마리는 주인에게 돌아갔고 1384마리는 새주인에게 입양됐다. 하지만 1049마리는 안락사되거나 질병 등으로 시설에서 죽음을 맞았다.

 26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경주에서 버려진 유기동물의 입양률(반환율 포함)은 4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국 평균 42%(농림축산검역본부 통계 기준)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행히 올해 들어선 동물보호팀 신설과 함께 지난 1월부터 3월말까지 유기된 동물 200마리 중 반환된 동물은 17마리, 입양된 동물은 106마리로 총 123마리(61%)가 입양 또는 반환됐다.

 이같은 성과는 경주시가 운영 중인 천북면 소재 '경주시유기동물보호소'의 활약 덕분인데 유기동물을 데려와 보살피는 것은 물론 새로운 주인을 찾아주는 이른바 '유기동물 입양센터'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오는 10월 신축 완공될 '경주시동물보호센터'가 문을 열게 되면 기존 유기동물보호소가 현재의 임시시설에서 신축시설로 자리를 옮기게 되는데 공간이 더 늘어나고 쾌적해지는 만큼 각종 행사 등을 통해 유기동물과 시민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 입양률이 지금보다 높아질 전망이다.

 특히 시는 유기동물의 입양률을 높이기 위해 1마리당 최대 20만원까지 병원비를 지원하고 있다. 이같은 반려동물 정책이 긍정적인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입양 관련 자세한 내용은 경주시청 동물보호팀(054-779-6305)으로 문의하거나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서 확인하면 된다.

 주낙영 시장은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며 키우는 반려인들의 수가 늘어나는 만큼 시에서도 지역사회와 함께 다양한 동물복지 사업을 적극 추진해 사람과 동물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경주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