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와 달리 오늘 본투표는 반드시 지정된 투표소에서 투표해야 한다. 주민등록증·여권·운전면허증 등 사진이 포함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선거일에는 선거운동을 할 수 없으며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를 촬영하는 행위 △투표소 100m 안에서 투표 참여를 권유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한 선거운동은 가능하고 기호를 드러낸 `투표 인증샷`을 게시·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격리자는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해야 한다. 전담 공무원의 안내에 따라 자가용 또는 도보로 오후 8시 전까지 투표소에 도착한 후 다른 선거인이 투표를 모두 마친 오후 8시 이후에 투표에 참여한다.  이번 선거에서 최대 이슈는 지난 3월 초 LH 전·현직 직원들이 내부 정부를 이용해 3기 신도시 땅에 사전 투기를 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선거 내내 공직자의 부동산 투기 문제가 중심에 섰다.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사태에 대해 연신 고개를 숙이고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을 경질하는 한편 각종 후속 대책을 꺼내들었지만 분노의 민심을 달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급기야 LH 발 투기 사태는 정치권 전반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확전됐다. 사실관계가 불분명한 여야 의원들의 온갖 부동산 의혹이 수면 위에 올랐다. 특히 선거 막바지 여권 인사들의 `내로남불`식 임대료 인상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론이 크게 악화했다.  박 후보와 오 후보는 최대 승부처인 2030세대에 초점을 맞췄다. 유세 현장에서도 청년층 지지유세 경쟁에 불이 붙었다.  특히 오 후보 측 유세 현장의 경우 하루 평균 20명 정도의 2030 유권자들이 현장에서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잇따라 불거진 `불공정` 논란과 부동산·교육 격차 문제 등으로 인해 2030세대의 정부·여당에 대한 분노가 높아진 데 따른 변화로 풀이되고 있다.  민주당은 여론조사 결과와 달리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초접전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보통 20∼40대가 사전투표를 선호하는데 재보궐 선거가 법정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이들 연령층이 적극적으로 투표에 나섰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20∼30대 연령층에서는 부동층이 많은 것으로 조사돼 민주당은 이들의 표심이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로 향할 경우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를 바짝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선거 서울 지역 20·30대 유권자(10대 포함)는 34.8%(422만명) 수준이다.  이 같은 이유로 민주당은 샤이 진보층이 움직이고 있다고 판단,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 후보와 오 후보가 한 자릿수 격차로 박빙을 승부를 펼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주당은 부산시장 보궐선거도 일방적인 싸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