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詩經)은 시대적 생활과 사회성, 인간사의 다양성을 이해하게 했다.
시문학의 발달에서 유학(儒學) 사상은 도덕과 인간 삶의 가치를 중요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은 시(詩), 서(書), 화(畵)에 고루 영향을 끼치면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성에 관한 깊이 있는 사고를 가져왔다.
인물 배경으로 그리던 산수가 오도자(700~760년)에 의해서 산수 화가 체계를 갖춰 품격 있게 표현됐다. 시, 서, 화를 향유하던 성당(盛唐) 시기의 문인들은 시문학 인재(人才) 등용과 학문의 자유로운 교류는 도자사의 당삼해와 북종화를 대표하는 이사훈의 청록산수 등장의 바탕이 됐다.
이백 `행로난`
금 항아리 맑은 술, 한 말 가득하고 옥소반 진수성찬, 값지기도 하건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