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취임 2주년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은 지난 6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먼저 집무실에서 국민 여러분께 영상을 통해 지난 2년 정부의 국정 운영 기조와 정책 추진 상황을 설명드리고 앞으로 3년의 국정 운영 계획을 말씀드릴 것"이라며 "1층 브리핑룸으로 이동해 기자회견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알렸다.   총선 대패 후 가지는 기자회견이라 힘든 시간이겠지만 국정 동력을 되살릴 반전의 기회이기도 하다.   대통령 하기에 따라서는 불통 이미지를 희석하고 정부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로 만들 수도 있다.    국민이 답답해하는 이슈들을 진솔하게 설명하고 나라 미래를 고민하는 지도자의 혜안과 용기를 확인시켜줄 때 가능한 일이다.   지난 2년간 윤 대통령은 언론과의 접점을 줄였다. 공약인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을 중단하더니 신년 회견은 특정 신문·방송과의 인터뷰로 대체했다.  지난달 의료개혁 대국민 담화 역시 `하고 싶은 말`만 해 불통 이미지를 고착화했다. 여당이 지난 총선에서 외면받은 이유 중 하나다.    따가운 민심을 의식한 대통령실은 `소통 방식의 변화`를 예고했다.  국민이 그 변화를 체감하려면 내용뿐만 아니라 형식이 파격적으로 달라져야 한다.    첫 번째 시험대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번 신년 회견에서 KBS 앵커와의 녹화대담으로 일방적이라는 비판을 받은 것과는 달리 곤란한 문제도 회피하지 말고 진솔하게 답변해야 한다.    또 다시 준비한 회견문을 읽고 의례적인 질의응답 후 퇴장한다면 또 한 번의 역풍을 자초할 수 있다.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 김건희 여사 관련 논란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야당의 과잉 공세로 부풀려진 측면이 크지만 총선을 거치며 더 이상 뭉갤 수 없는 정치적 이슈로 부상했다는 점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특검추천권 독점 등의 독소조항을 고집하는 야당에 끌려가지 않으면서도 국민이 궁금해하는 실체적 진실을 밝힐 수 있는 전향적인 대응이 불가피하다.    특히 의료 공백 장기화, 고물가 등 민생을 덮친 어려움에 대한 해법 제시도 시급하다. 민생 문제 해결에 시간이 필요하다면 솔직하게 털어놓고 양해도 구해야 한다.   빠뜨리지 말아야 할 것은 저성장과 저출산·고령화 늪에 빠진 대한민국에 새 숨을 불어넣을 비전과 대안이다.    야당은 `친명 단일 대오`를 구축하고 폭주·방탄에 여념이 없다.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반시장적·위헌적 법률을 22대 국회 개원 즉시 재추진하고 민생회복지원금 퍼주기도 밀어붙일 태세다.    국민은 `야당 때문에 옴짝달싹할 수 없다`는 푸념이 아니라 어떻게 공정과 상식의 나라를 만들 것인지 대통령에게 묻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