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미래차 전환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경주 e-모빌리티 연구단지 구축과 지역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일 경주시에 따르면 올해 △e-모빌리티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통합관제허브센터 건립 △탄소소재 부품 리사이클링센터 준공 △미래차 첨단소재 성형가공센터 활성화 △다양한 기업지원 사업 등에 117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e-모빌리티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통합관제허브센터 건립에 85억원을 들여 오는 12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에 속도를 낸다. 통합관제허브센터(441억원)가 완공되면 공유스테이션 실증·평가·분석 장비 9종을 구축해 배터리 제품 표준화와 인증 지원은 물론 공유스테이션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 사업 모델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 최초로 재활용·제품화를 위한 거점기관인 탄소소재 부품 리사이클링센터는 올 4월 준공을 앞두고 있다. 리사이클링센터는 탄소복합재 재활용을 위한 열분해 시스템을 포함한 장비 14종을 구축해 초경량·고강도 소재인 탄소복합재의 재활용 기술을 연구하고 재제조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지난해 4월에는 경주 e-모빌리티 연구단지 내에 지역에서 처음으로 자동차 소재부품 연구센터인 미래차 첨단소재 성형가공센터가 문을 열었다.  자동차 부품 설계·해석부터 시제품 제작, 평가·인증까지 전 주기적 지원이 가능한 장비 10종을 구축하고 미래차 전환 시대 방향성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지역기업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시는 올해 기업 연구개발 및 맞춤형 지원 사업에도 32억원을 들여 지역 기업의 기술혁신·고도화를 지원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차량용 첨단소재 성형가공 기업지원(6억6000만원) △수출지향형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지원(5억5000만원)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5억1000만원) △지역특화 미래신산업 전환 촉진 기업 지원(4억5000만원) △자동차 부품산업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2억1000만원) △탄소소재 부품기업 지원(2억원) 등이 있다.  시는 오는 2월~3월 중 사업별 모집 공고를 거쳐 사업 수행자 선정하고 추후 협약 체결을 통해 연구 개발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주낙영 시장은 "경주 e-모빌리티 연구단지와 연계한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 기반 마련을 통한 산업·경제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