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이 정부의 백신 도입 정책에 대해 100점 만점에 평균 55.3점으로 평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민들은 백신여권으로 국내외 여행(60.4%)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최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한국 백신보급과 백신여권 도입`에 대해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4%이다.
조사 결과 한국의 집단면역 시기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0.8%가 내년 하반기까지로 내다봤다. 내후년(2023년) 이후까지 내다본 응답자도 29.3%나 차지했다. 반면 정부 목표인 올해 11월은 9.9%만이 가능할 것으로 응답했다. 백신여권이 도입 시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국민들은 67.4%에 달했고 도움이 안 될 것으로 생각하는 국민은 11.7%였다.
백신여권으로 가장 하고 싶은 것은 `여행`(해외 36.4%, 국내 24.0%)으로 나타나 국민들은 자유로운 여행에 대한 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공연장 등에서 문화생활`(19.3%), `자유로운 레스토랑 외식`(13.3%) 등이 꼽혔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주부터 시행된 내국인 백신접종자 자가격리 면제 지침이 해외에서까지 인정을 받는다면 국민들의 여행욕구를 충분히 해소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여행으로 가장 가고 싶은 지역은 유럽(41.2%), 동남아(24.5%), 미국(14.4%), 일본(13.1%) 순으로 조사됐다.
우리 국민은 백신여권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백신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분한 백신 확보를 통한 국내 백신 접종률`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2.0%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주요 국가들의 백신여권 도입여부 및 합의`(15.7%)가 2순위로 꼽혀 실질적인 백신여권 활용을 위해 국가 간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백신여권 통용을 위해 인정 가능한 백신의 종류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의견(중복응답)이 분산된 가운데 현재 안전성 논란이 있는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백신도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이 21.1%에 달했다. 최근 일각에서 도입이 거론되는 러시아(스푸트닉5)는 7.8%, 아세안과 남미 등에서 접종되고 있는 중국(시노팜·시노벡)은 단 1.2%만이 인정한다고 응답했다.
빠른 경제 회복 차원 백신(여권) 우선권을 줄 필요가 있는 직업군으로 `해외출장이 긴요한 기업체 임직원`(43.5%), `국가 간 공조를 협의할 공무원`(24.1%), `최신 학술연구가 필요한 학계와 유학생`(15.7%),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예·스포츠업계 종사자`(9.8%) 순으로 조사됐다.
백신여권은 자유로운 통행과 활동을 보증하기 위해 코로나19 백신을 맞았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일종의 접종 증명서이며 백신여권 또는 일부 나라에서는 그린패스로 불리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지난 4월 1일에 디지털 앱 방식의 백신여권(COOV)을 도입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리 국민들이 해외출장이 필요한 우리 기업인들의 우선권 부여에도 긍정적으로 조사된 만큼 최근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외출장을 앞둔 기업인들에 대한 백신 우선 접종 정책 역시 더욱 속도감을 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