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022년 스마트특성화사업에 `저전력 지능형 IoT 물류부품 상용화 기반구축` 사업이 선정됐다. 내년부터 3년간 총 사업비 186억원을 투자해 지역 산학연 협의체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저전력 지능형 IoT 부품소재는 생활속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들을 하베스팅 부품소재를 활용해 수집해 다시 전력에너지로 변화해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른바 에너지의 재활용이라 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수확한다는 의미에서 `에너지 하베스팅`이라는 용어 또는 `저전력 IoT기술`로 사용된다.  이러한 일련의 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 탄소중립 등 친환경 정책의 강화로 주목받고 있다.  해외 사례는 대규모 호텔에서 수만개의 스위치에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사용해 에너지절감을 이뤄내고 있으며 중국 상하이 홍차오 공항은 스마트 조명 센서를 부착해 초저전력화 공항을 실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부산 서면의 지하철 개찰구에 압전패드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사례가 있다.  영국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에너지하베스팅 시장 전망은 작년 4억5800만달러에서 오는 2028년까지 9억8700만달러(한화 약 1조2000억원)로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는 고성장 분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물류분야에 적용해 저전력화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동안 경북도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영천시 대구대 등과 협업해 왔다. 작년 3월부터는 도와 영천시가 공동으로 `에너지하베스팅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수립용역`을 추진해 12월 초 완료했으며 이 과정에서 국내 최초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분류체계`를 정립해 앞으로 체계적인 연구개발과 산업발전에 방향성을 제안 했다.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 사업은 전국 55개 산업거점을 선정해 지역특성에 맞는 연구장비 확충, 혁신기관 장비간 연계강화, 기술지원 등 지역의 혁신기반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경북도는 지난해 `S/W기반 지능형 SoC모듈화 사업`을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에 제출해 선정받았다.  본 사업이 IoT기기들의 원천이 되는 반도체 부품을 설계하는 원천디자인이었다면 이번에 선정된 IoT물류부품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은 이러한 설계역량을 바탕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이라는 기술을 한단계 발전시킬 수 있는 응용디자인에 가까운 사업이다.  이철우 지사는 "스마트 특성화 사업은 지역의 혁신기관 간 연계와 협업이 전제돼야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이라며 "그간 구축된 IoT관련 연구기반들과 협업을 강화함은 물론 산학연 협력체계를 통해 혁신기관들이 보유한 유망기술이 대학으로 확산돼 위기 속에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지역대학들의 돌파구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