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 이동업 의원(사진·포항6, 국민의힘)은 6일 개최된 제323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북도내 초·중·고등학교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강력히 촉구했다.
이동업 의원의 5분 발언 내용을 살펴보면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는 인류 생존의 문제가 됐고 이러한 재앙적 환경문제의 개선과 인류의 생존과 발전의 해답은 바로 `환경교육`에 있으며 가치관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의 환경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정부에서는 지난 2011년부터 5년 단위의 `국가환경교육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환경교육은 매우 부족하다. 가장 큰 이유는 환경과목이 필수 과목이 아닌 `선택 과목`으로 운영되다 보니 입시경쟁 논리가 지배하는 대한민국 교육현장에서 환경과목의 선택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데 있다고 밝혔다.
도내 초·중·고의 환경과목 선택학교 현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경우는 전무한 실정이며 중학교는 전체 259개교 중 24개교(9.2%)로 10%도 채 되지 않으며 고등학교는 47개교(25.4%)로 전체 185개교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상황으로 이들 학교는 주 1회 1∼2시간 환경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환경과목을 가르쳐야 할 정규 환경교사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는 도내에 단 한 곳도 없는 심각한 상황으로 비전공 교사가 환경교육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지적했다.
이에 포항 영일고등학교 환경교육 수범사례를 소개하면서 첫째 `도내 모든 학교 26만여명의 초·중·고 학생 모두에게 최소 주 2시간 이상의 환경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경북도교육청의 대책마련과 둘째 내실있는 환경교육을 위해 학교별 1인의 정규환경교사가 배치될 수 있도록 `1교 1환경교사 제도`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이동업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마무리하며 "기후위기·환경재난시대에 도내 모든 학교에서 환경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해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학교 환경교육의 시작이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고 인류생존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영우 기자ycyw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