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에서 태어났거나 경상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여섯 명의 시인(석민재·유승영·서형국·권상진·권수진·이필)이 참여한 합동시집 `시골시인-K`가 도서출판 걷는사람에서 출간됐다.
이들은 동인도 아니고 정기적인 모임도 없다. 회비도 거두지 않는다. 사는 곳도 쓰는 곳도 모두 다르며 국가나 지자체에 문화예술지원금도 신청하지 않았다. 지난 2020년 우연히 마산에서 만나 아이디어를 나눴고 코로나19로 인해 자주 만날 수는 없었지만 SNS를 통해 서로의 근황을 물었다. 제대로 시적 난장을 펴 보자고 의기투합한 끝에 1년 동안 쓴 원고를 모아 이번 합동시집을 펴낸 것.
이 시집은 게릴라성 합동 시집 성격을 띤다. 필자들은 이 시집이 일회성으로 그칠 게 아니라 경상도를 시작으로 전라·충청·강원·제주 등 전국 곳곳에서 합동시집 출간 운동이 들불처럼 번져 새로운 반란으로 이어지기를 꿈꾼다. "시는 자신의 무덤 속에서 무덤을 파헤치는 일"(유승영)이라는 일갈처럼 문학의 본령에 복무하되 중앙 문단을 바라보기보다는 지역을 기반으로 창조적으로 움직이자는 게 이들의 모토이며 합동시집에 이어 시골시인 다큐멘터리도 기획하고 있다.
시골시인이라고 자처한 이들은 권상진(경주), 권수진(창원), 서형국(고성), 석민재(하동), 이필(영주/서울) 유승영(진주) 시인이다.
이들은 "소위 중앙이라 불리는 문단에서 소외된 지방 작가들이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사회에서 얼마든지 열정적으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기 위해 원고를 취합하게 됐다"고 그 소회를 밝힌다.
시집 속에는 여섯 명의 시인이 써낸 10편씩의 시와 산문 1편, 그리고 각자 그린 자화상 캐리커처가 담겼다.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직업으로 살면서 쓴 신작시들은 독특한 개성과 치열한 시정신을 아낌없이 발휘한다.
이들은 `시골시인-K`를 필두로 `시골시인-A`, `시골시인-B`, `시골시인-C`가 전국 각 지역에서 계속 이어져 나가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 합동시집의 수익금을 다음 시골시인 프로젝트를 위해 후원할 계획이다. 서울중심주의에 사로잡혀 있는 한국 문학계를 이제는 지역의 괴물들이 구해내야 할 때라고, 이 빨간 맛 좀 보라고 6인의 시인이 하이킥을 날린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