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LH(한국토지주택공사)발 땅 투기 의혹이 제기된 대구 수성구 연호 공공주택지구(연호지구)와 관련해 수성구청을 압수수색했다.  대구경찰청 부동산 투기사범 특별수사대는 27일 오전 10시쯤 수성구청 도시디자인과와 홍보소통과 등 2개과에 수사관 13명을 보내 연호지구 공공택지 조성 등과 관련된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4시간 30여분에 걸쳐 진행된 압수수색에서 경찰은 연호지구 개발 관련 자료와 서류, 언론보도 스크랩 자료 등이 담긴 압수물 2개 박스 분량을 확보했다.  경찰 관계자는 "김대권 수성구청장이 부구청장으로 재직할 당시 연호지구 불법 투기와 관련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의 압수수색"이라며 "수성구가 LH 등과 연호지구 조성사업을 진행하면서 양측간 업무 연관성이 있는 자료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연호지구 주무부서인 도시디자인과 외에 홍보소통과를 압수수색한 것은 김 구청장이 연호지구 땅을 구입한 시점인 지난 2016년 당시 연호지구 개발 등과 관련된 언론 스크랩 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찰은 김 구청장과 그의 부인 A씨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연호지구 땅 투기 의혹에 대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A씨는 김 구청장이 부구청장으로 재직하던 지난 2016년 3월 연호지구인 수성구 이천동 농지 420㎡를 2억8500만원에 구입했다. 당시는 이 일대가 개발지구에 지정되기 전이었고 2년여 후인 2018년 8월 A씨가 산 농지는 공공주택을 짓는 연호지구에 포함됐다.  이후 A씨는 지난해 연말 LH와 협의 보상을 통해 소유권을 LH에 넘겼다. 보상가는 3억9000만원으로 1억원이 넘은 시세 차액을 남겼다.  농지를 산 시점이 김 구청장이 부구청장으로 재직한 때여서 `이천동을 포함한 연호지구 개발 정보를 미리 알고 투기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의혹이 처음으로 불거졌던 당시 김 구청장은 "땅을 구입한 그때는 그 일대가 개발될 것이라고는 전혀 몰랐고 집을 팔고 전세로 옮기면서 남은 돈으로 농지를 구입했다. 당시 처의 건강이 좋지 않아 텃밭을 가꾸며 건강을 회복하자는 생각으로 구입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한편 대구경찰청은 현재 기초단체장 등 공직자 9명을 포함해 총 108명을 상대로 부패방지법, 주민등록법 위반 등의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명열 기자rositante@kakao.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