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지난 16일 `2025년 시민정책디자인단` 출범식을 개최하고 올해 활동을 본격 시작했다.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한 시민정책디자인단은 시민이 주도적으로 정책을 설계하고 제안하는 구미시의 대표적인 참여형 거버넌스 프로그램이다.  올해 활동의 중심 주제는 `구미시 재탄생을 위한 저출생 대책`으로 출범식에서는 이번 과제에 대한 정책 논의가 본격화됐다.  이날 회의에는 시민정책디자인단 참여자 10명과 시 공무원 4명 등 총 14명이 참석했으며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념 및 운영 취지 설명 △활동 과제 안내 △서비스 디자인 기법을 활용한 정책 아이디어 도출 프로세스 소개 △향후 일정 논의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특히 올해 디자인단은 다양한 삶의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시민들로 구성된 점이 주목된다.  서비스디자이너를 비롯해 마을돌봄터 운영자, 돌봄교사, 학부모, 기혼자, 결혼 적령기의 여성 등 저출생 문제와 직접 맞닿은 당사자들이 참여해 현장성과 실효성을 더했다.  구미시는 지난 2023년부터 시민정책디자인단을 운영하며 실효성 있는 시민 참여형 정책 개발을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구미역 복합문화거점공간 Ground 9 조성사업`을 연구 과제로 공간 구성해 인테리어, 운영 콘텐츠를 제안했으며 2024년에는 `구미만의 저출생 대책`을 주제로 청년 연애·결혼 지원책과 `경력단절여성 대상 247 케어`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 바 있다.  시는 앞으로도 시민과 전문가, 공무원이 협업하는 구조를 통해 현장에서 출발하는 체감도 높은 정책 제안을 지원할 방침이다.  박노돈 정책기획과장은 "시민정책디자인단은 행정과 시민이 함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만들어가는 살아있는 거버넌스 사례"라며 "특히 저출생이라는 지역의 중대한 과제를 다루는 만큼 시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 실질적인 대안을 찾겠다"고 했다.  박의분 기자ub0104@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