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대한민국의 인공지능(AI) 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AI 메카도시 포항`으로 대도약하기 위해 원대한 비전을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포항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북도, 지역대학, 유관기관 관계자와 기업체 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AI 선도도시 경북 포항 비전 선포식`이 지난 8일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이강덕 시장을 비롯해 송상훈 과기부 정보통신정책실장, 김일만 시의회 의장, 김정재 국회의원, 조성배 국가AI위원회 기술혁신위원장, 최도성 한동대 총장, 서영주 포스텍인공지능연구원장, 경북도 내 디지털 기업체 대표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미국, 중국 등 전 세계 주요국들이 AI를 국가 핵심 자산으로 인식하고 주도권 선점을 위한 치열한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지난 9월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를 출범시키며 `AI 세계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AI 전략 정책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시는 국가 AI 전략 정책 방향에 대응해 인공지능 분야에서 최고의 역량을 가진 글로벌 기관장 및 전문가들과 한 자리에 모여 인공지능으로 새로워질 AI 선도도시 포항 도약을 위해 기관 간 모든 역량을 모으기로 뜻을 함께했다.
이날 선포식에서는 조성배 국가AI위원회 기술혁신위원장이 `AI시대 기술혁신 중심도시 포항으로의 도약 전략` 특강으로 포항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AI 산업 생태계 조성 및 산업육성을 위한 포항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언했다.
조 위원장은 주요전략으로 △AI 기반 도시 인프라 구축 △AI 기반 행정서비스 혁신 △지역특화 AI 솔루션 개발 △중앙정부와의 협력 강화 등을 강조했다.
이어 권혁원 일자리경제국장이 산업·경제·일상 등 모든 분야에서 인공지능 산업혁신으로 포항의 미래 대도약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경북 포항 AI 전략`을 발표했다.
권 국장은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기업하기 좋은 투자 환경을 위한 `AI 융자(1000억원 규모) 및 AI 펀드(1000억원 규모)` 조성 △반도체·과학·산업·사회 4대 분야 AI 대전환 촉진 △국내외 우수 인재 유치 및 글로벌 기업진출 지원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구글, 아마존, 네이버, 포스코미래기술연구원, KT, 포스텍, 한동대, 카이스트, 서울대, 고려대 및 지역 R&D 기관 등 AI 분야 최고 전문가 25인으로 구성된 민관협력 `경북포항AI혁신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이강덕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경북포항AI혁신위원회는 향후 국가AI위원회에서 추진될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지역 AI 혁신거점 △권역별 AI 특화산업 지정 등 중요 국책사업 유치를 위한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이날 행사에서는 민간 중심의 밸류체인 연계·협력 및 AI 정책 합동프로젝트 추진, 민관 소통 창구를 위한 경북도 내 56개 디지털 기업이 참여하는 `경북 포항 AI 기업 얼라이언스`가 발족했다.
아울러 AI 스타트업 특화 공간이자 AI 창업허브 인프라가 될 `AI오픈이노베이션센터` 구축을 위해 KT, 에릭슨LG, 카카오그룹, 포스텍, 한동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포항TP 등 10개 기관이 MOU를 체결했다.
시는 이날 선포식을 시작으로 포항형 AI 산업 기반과 최적의 육성생태계 조성 등 타 지자체보다 한발 빠르게 대한민국 AI 대표 도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정책추진에 가속도를 낼 방침이다.
이강덕 시장은 "포항이 철강도시를 넘어 새로운 글로벌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는 디지털 혁신이고 그 핵심이 바로 인공지능"이라며 "경북포항AI혁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세계최고 인공지능 혁신도시 포항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동현 기자dogh031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