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의 행정통합을 둘러싼 논쟁이 지역사회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지난 7일과 8일 안동시청 청백실, 시민회관 영남홀에서 열린 일명 “대구경북 행정통합 반대 민간단체장 대책회의와 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 총 궐기대회”에서 행정통합에 대한 비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그 과정에서 제기되는 여러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8일 오후 안동시민회관 영남홀에 모인 100개 민간단체 대표들과 1000여명(주최측 추산)의 시민들은 “누구를 위한 행정통합인가?” “경북대구 행정통합 결사반대!!”등 피켓을 들고 도.시민의 동의없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반대의 뜻을 분명히 밝히고 통합추진 절차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대구경북 통합이 장밋빛 비전으로만 제시되고 있다며, 현실적인 예산 문제와 권한 이양의 한계를 지적했다. 제주자치도나 강원자치도의 사례를 언급하며, 통합 없이도 권한 이양은 가능하며, 통합 이후에도 재정 분권이 되지 않는다면 실질적인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한만 부여되고 예산이 따르지 않는다면, 지방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다.앞서 속칭 “경북대구 행정통합 반대 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선출된 최윤환위원장은 경북 도청 이전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언급하며, 통합을 통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는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 도청 이전 이후에도 신도시 인구가 목표인 10만 명에 도달하지 못하고 3만명에도 못미치는 현실을 지적하며, 통합 이후의 발전 계획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총 궐기대회에서 인구 감소 문제의 원인이 대구와 경북의 분리가 아니라 수도권 집중에 있다고 설명하며, 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공감대 형성 없이 지도자들(홍준표대구시장, 이철우경북도지사)이 일방적으로 결정을 내리고 있다고 비판하며, 통합의 장단점을 명확히 설명하고 주민들에게 판단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경북 통합이 북부 지역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시민들의 목소리가 컸고 통합 이후 북부권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고, 균형 발전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하며, 혁신도시의 사례를 들어, 정부 기관의 이전만으로는 지역 사회의 실질적인 발전을 이루기 어렵고 도청 신도시에 대한 투자가 줄어 들 것이고 아파트 분양률이 하락하는 등의 부작용을 경고하며, 지역 주민들이 행정통합 반대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행정통합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만큼, 그에 못지않게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주민들의 충분한 참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한편 권기창 안동시장은 홍춘표 대구시장이 대구시의회와 경북도의회가 합의를 한다면 절차와 시간이 간소화 된다는 발언을 의식한 듯 “통합되면 수조원 예산을 보장 한다는데 투표비용 300억과 80일의 시간이면 당연하게 주민투표로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 대책회의에서는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나온다면 상생수 공급 협의를 전면 재검토할 뜻도 비췄다.   김경태 기자tae66611@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