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회는 대구경북 행정대통합과 관련한 재논의가 행안부 중재로 진행됨에 따라 앞으로는 민주적인 절차에 의한 간담회와 토론회 등의 절차를 받드시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의회는 16일 이같은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도의회는 행정통합이 대구·경북의 지역 문제를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 행정 체제를 좌우할 국가적인 과제인 점에 의의가 있다며 이철우 도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에 다양한 절차에 의한 민주적인 과정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요구했다.  우선 도의회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해당 지방의회의 의견 수렴을 위한 권역별 현장 간담회를 개최할 것 △행정통합의 실효성,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 강화 등 지역주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문가 그룹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할 것 △경북도지사, 도의회 의장, 대구시장, 시의회 의장, 시장군수협의회장이 함께하는 회담 개최와 언론매체(TV 등)를 통한 공개 토론회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의 행정통합은 지난 8월 27일 홍준표 시장의 행정통합 무산선언이 있었으나 경북도는 내부검토 및 관계기관 회의를 이어왔으며 행안부와 지방시대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하는 등 통합을 위한 불씨를 살려왔다.  이에 지난 11일 대구경북 행정통합 추진에 대한 행정안전부 중재안이 경북도 및 대구시에 전달됐으며 13일 대구시와 경북도가 긍정적 의견을 내며 되살리기에 나섰다.  행안부는 중재안에서 통합지자체 명칭을 `대구경북특별시`로 하고 법적 지위는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위상`으로 설정했으며 정부가 통합지자체에 사무와 재정을 적극 이양해야 한다는 내용도 명시해 내놨다.  그러나 그동안 쟁점으로 무산위기에까지 왔던 경북과 대구의 기존 청사를 활용하는 문제와 통합지자체의 본청 및 소방본부의 소재지는 어디에 둘 것인지 시·도의회 소재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를 미완의 주제로 남겨둔 상태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그동안 청사위치 선정, 관할구역, 주민 의견 수렴 방법 등을 놓고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감정의 골만 깊어진 채 논의를 중단했었다.  대구시는 통합청사를 대구(대구청사)와 안동(북부청사), 포항(동부청사) 세 곳에 두고 시·군을 관할하는 지역 대부분을 대구청사에 두자는 입장인 반면 경북도는 현재의 대구시청과 안동의 경북도청 청사를 지금처럼 유지해야 하며 시·군의 권한을 현재와 같이 둬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