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과 폭우로 채솟값과 신석식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추석 차례상 준비를 앞두고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장을 보러 온 시민들은 쉽사리 장바구니 물건을 담지 못하고 이것 저것 들었다 가격을 묻고 다시 내려놓기를 반복했다.  시민들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며 입을 모았다.  한 손님은 "뭐 하나 고르기가 무서워서 빈 손으로 돌아가겠다"라며 울상을 지었다.  한숨이 나오긴 상인들도 마찬가지다.  채소가게를 운영하는 상인은 "연일 폭염으로 야채들이 땡볕을 받아 말라버리니 비싸졌다"며 "가격만 묻고 가는 손님이 태반이고 추석 대목도 옛말이 된 지 오래"라고 한탄했다.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이 4인 가족 기준 평균 20만9494원으로 전년 대비 1.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는 지난 6일 전국 23개 지역의 16개 전통시장과 34개 대형유통업체에서 24개 품목을 조사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11일 aT에 따르면 업태별로는 전통시장 19만4712원, 대형유통업체 21만6450원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3%, 1% 상승했다.  전통시장은 24개 조사 품목 중 14개가 대형유통업체보다 저렴했다. 다만 청주, 밀가루 등 일부 가공식품과 대형마트와 연계한 정부의 할인지원 영향으로 사과, 배, 배추, 무, 소고기(설도), 조기, 밤 등은 유통업체가 더 저렴했다.  특히 대형유통업체에서 정부의 농수축산물 할인지원 연계 시 품목에 따라 최대 60% 저렴했으며 차례상 차림 비용은 할인 전 대비 5.2%(1만1779원)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추석을 앞두고 공급량이 늘고 있는 사과, 배가 전년 대비 각각 13.1%, 10.4% 하락해 올해 과일류의 가격은 안정세다.또한 소고기(설도, -18.9%)와 계란(10구, -6.0%) 등 축산물의 가격도 대체로 낮아졌다.  단 평년 대비 이른 추석에 지난 8월의 지속된 폭염의 영향으로 올해 배추, 무, 시금치, 애호박 등 채소류의 가격이 전년 대비 43.2% 상승했다.  조기, 동태, 북어 등 수산물 가격은 전년 대비 3.3% 하락했다. 반면 고사리, 대추, 밤, 곶감 등 임산물 가격은 같은 기간 16.3% 올랐다.  최근 정부가 추석을 앞두고 배추, 무, 사과, 배, 소고기, 돼지고기 등10대 성수품의 공급물량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석 물가의 빠른 안정을 위해 수요가 많은 10대 성수품의 공급량을 평시 대비 대폭공급할계획이다.  경북도 또한 추석 물가를 잡는 데 총력 대응에 나서 서민들의 부담을 최대한 덜어줘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