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여름철 재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민간주도, 현장중심, 과잉대피를 위한 주민대피협의체를 구축한다.
주민대피협의체는 야간재난, 산간지형, 고령자 피해가 많은 경북 재난의 특징을 벌영해 추진하는 경북형 재난대응 체계인 민관협력의 제도화 모델이다.
도는 18일 이철우 도지사와 이강덕 경북도시장군수협의회장, 김철문 경찰청장, 박근오 소방본부장, 엄태봉 경북도이통장연합회장, 은종현 경북도자율방재단연합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도 주민대피협의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으로 주민대피협의체의 한 축인 민간(마을순찰대, 이통장)에서는 위기 징후 감지, 상황전파, 재난취약자 및 미 대피자 발생에 대비해 집집이 방문해 신속한 주민 대피와 필요시 사전대피로 스스로 자기 마을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담 공무원, 경찰, 소방은 대피소별 지정된 전담 공무원과 경찰, 소방공무원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를 바탕으로 재난 발생 전부터 재난 상황 단계별 선제적인 주민대피지원, 현장 응급구조 및 안전관리 지원으로 도민 생명을 보호한다.
특히 위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대피에 안일하게 대응하는 측면이 있었는데 경찰 및 소방공무원이 재난 현장에 출동해 대피불응자에 대한 강제 대피 지원으로 위험 상황에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된다.
이철우 도지사는 "공무원 본연의 임무는 무엇보다도 소중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있다"라며 "재난·재해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사전점검과 예방뿐만 아니라 민·관 협력의 제도화된 시스템으로 인명 피해 ZERO 경북을 민관이 함께 만들자"고 했다.
한편 경북도에서는 올해 초 재난안전실과 자치행정국을 통합하고 안전행정실을 출범했으며 1마을 1대피소 지정, 12시간 전 사전대피 예보제, 마을순찰대 가동, 주민 대피협의체 구성으로 민·관 협력의 제도화를 통해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 4대 축`을 완성했다.
또한 K-마을순찰대와 `어둡기전 서둘러 안전하게 대피하이소~ K-마 어서대피 프로젝트`를 가동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나갈 계획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