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10일 도내 4개 시·군 폭염주의보를 시작으로 오는 9월 30일까지 10개 관련 부서 및 시·군으로 구성된 폭염대책 T/F팀 운영으로 본격적인 폭염대응체제에 들어간다.
도는 이번 폭염대책 T/F팀 운영으로 폭염에 따른 도민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최근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평년(1991∼2020년) 폭염일수(33℃)는 11일로 과거 평년(1981∼2010년) 9.5일 대비 증가추세이며 최근 10년간(2014∼2023년)은 14.0일로 증가하고 있어 올여름 폭염일수와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해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경북도와 GDI(경북연구원)가 지난 5년간 폭염 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농업 작업과 관련된 곳과 논밭(오후 1~2시), 실외 작업(오후 2~3시)에서 온열질환자가 많이 발생했으며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통장, 자율방재단 등으로 구성된 마을 순찰대 2만4290명, 전담 사회복지사 259명, 생활지원사 3727명, 농업인 안전리더 61명 등을 활용해 폭염 3대 취약 분야인 농어업종사자, 현장 근로자, 폭염 취약노인 등 예찰 활동 및 집중관리한다.
농·축산농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농작물 및 가축 재해보험 가입, 축사 시설 환경 개선 사업 추진, 고수온 등 이상 수온 예방 사업을 추진하는 등 농업 분야 469억원, 축산분야 179억원, 수산 분야 20억원을 투입해 폭염 피해를 최소화한다.
이외에도 22개 시·군에 무더위쉼터(6097개) 정비 및 지원, 폭염저감시설 설치 지원(스마트그늘막 66개소, 그린통합쉼터 5개소) 등 폭염대책비 2억원,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13억4000만원, 경로당 냉방비 24억원 등 총 39억 4000만원을 조기 지원해 폭염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또한 폭염주의보 기준이 되는 체감온도 33℃에 국민들이 취해야 하는 행동 요령을 친근한 표어(삼삼주의!)를 활용해 도 및 시·군 홈페이지, 전광판, 현수막, 카드뉴스, 캠페인 등 홍보도 강화할 예정이다.
이철우 도지사는 "도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총력 대응을 다할 것"이라며 "도민들께서도 올여름 극심함 폭염에 대비해 안전 요령을 숙지해 생활 속에서 실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