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5일 도청 회의실에서 방재전문가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형 마을대피소 안전 점검 추진을 위한 전문가 회의를 했다.  이번 회의는 경북형 마을대피소에 대한 안전 점검을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련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회의 주요 내용은 △경북형 재난체계 대전환 시행 배경 설명 △마을대피소 추진 상황 공유 △중점 점검 사항 논의 △의견 수렴 순으로 진행됐다.  경북도는 지난 2주간(3월 25일∼4월 5일) 5725개의 마을대피소에 대한 1차 안전 점검을 시·군 안전 부서를 통해 실시했다. 그 결과 면밀한 안전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대피소에 대해서는 오는 23일까지 민간 방재전문가와 시·군 안전 부서가 2차 안전 점검을 한다.  2차 점검에 참여하는 방재전문가는 방재(안전) 및 관련 분야에서 1년 이상의 근무 경험이 있는 기술사 또는 박사학위 소지자로 이들의 전문성을 활용해 대피소의 안전성 확보와 필요한 경우 대체 대피소 지정, 보수공사 시행 등의 후속 조치를 한다.  박성수 도 안전행정실장은 "민간 전문가와 협업을 통한 안전 점검 활동이 도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마을 대피소를 안전하게 운영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안전 점검을 빈틈없이 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3월 13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도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북형 재난대응체계로의 대전환인 `K-CITIZEN FIRST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특히 인명피해 최소화를 지원하는 과잉대피의 세부내용으로 △1마을 1대피소 지정 및 안전 점검 실시 △마을대피소 내 인명구조장비 비치 △사전대피자용 일시구호세트 제작△마을순찰대 등 주민 대피협의체 구성과 대피 훈련 실시 등의 세부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