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난 한 해 동안 전기, 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이 2개월 이상 연체된 가구의 정보를 제공받아 실태조사를 통해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사업을 추진해 총 1만790가구를 발굴·지원했다.
대구시가 지역특화형으로 추진하고 있는 위기가구 발굴 사업은 일상생활 속 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기·가스·수도요금 연체정보 등 빅데이터를 신속히 파악해 읍·면·동에 연계 후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방문조사를 통해 위기가구로 확인될 경우 즉시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을 위해 지난 2022년 10월에 한국전력 대구본부, 대성에너지㈜, 대구상수도사업본부와 `위기정보 빅데이터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같은 해 11월부터 매달 2개월 이상 공공요금 연체가구 정보를 제공받아 위기가구 발굴에 활용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 한 해 총 33만6553건의 연체가구 정보를 확보해 그중 2가지 이상 연체 중인 1만2507건의 위기 의심가구를 추출, 읍·면·동 조사를 통해 총 1만790건의 위기가구를 발굴·지원했다.
위기가구를 지원한 내용으로는 기초생활보장 381건, 긴급복지 251건, 기타 공공서비스 398건, 민간서비스 1514건, 상담 및 정보제공 8246건 등이다.
월별 위기가구 발굴 건수를 분석해 보면 1~3월에는 월평균 공공요금 연체정보가 4만7490건, 그중 위기가구는 월평균 2120건이 발굴됐지만 10~12월에는 월평균 공공요금 연체정보가 1만5020건, 그중 위기가구는 월평균 266건이 발굴되는 등 이번 사업의 효과로 지역의 위기가구가 상당히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지난해 군위군이 편입됨에 따라 이달부터는 군위군 지역의 공공요금 연체가구 정보를 추가로 확보해 위기가구 발굴 사업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정의관 보건복지국장은 "앞으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기가구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으며 어려운 이웃을 더 빨리 찾아내고 더 두텁게 지원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관심과 제보를 당부드린다"면서 "생계가 어려운 분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으로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