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정책 동참과 2025 APEC 정상회의의 성공개최를 위해 다음달 22일 제54회 지구의 날에 맞춰 `탄소중립 실천 선도도시 선포식`을 개최한다.
시는 이를 통해 최첨단 미래 도시 `경주`의 이미지는 물론 친환경 도시 `경주`의 이미지를 전 세계인들에게 각인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기후위기 극복과 지속 성장을 위한 목표로 대기 중 온실가스를 줄여 오는 2050년까지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자는 범지구적 의제다.
시는 이런 세계적인 흐름과 정부의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다양한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지난해 11월 열린 `탄소중립 실천 선도도시 심포지엄`에서는 탄소 흡수원 확충, 탄소중립 상시교육, 시민실천단 운영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또 같은 해 12월 개최한 `제13회 경주시민원탁회의`에서는 7개 그룹 100여명이 참석해 △매장 실내온도 지키기(소상공인) △TV 사용시간 줄이기(시니어) △밥 보온시간 줄이기(다문화가정) △찾아가는 탄소중립 시민교육 실시(전업주부) △탄소중립 시민위원회 구성(환경단체) △겨울철 휴경지 풋거름작물 재배(농업인) △탄소중립 실천가 양성(교육인) 등의 연령·계층·직업별 세부 실천 방안을 도출했다.
이같이 시민들의 자발적인 실천 방안 도출에 힘입어 경주시는 올해 주요업무 계획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41억원) △경주 그린뉴딜 천년숲길 조성(665억원) △친환경자동차 보급(93억원)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60억원) 등 확대 실천방안을 내놨다.
특히 경주시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용역 △탄소중립 지원센터 지정·운영 △오는 2026년 경주시 기초환경교육센터 설립 등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수립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경주시는 탄소중립 실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중립 시민 실천운동`도 펼치고 있다. 또 지난해 `심포지엄`과 `시민원탁회의`를 통해 도출한 `탄소중립 실천 리스트` 1만부를 배포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늘릴 계획이다.
특히 탄소중립 서약서와 실천리스트를 배부하면서 시민 대상 실천방법 홍보는 물론 시민들의 실천의지를 보다 확고히 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민관산학 주도 탄소중립 추진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기관별 역할을 부여하면서 협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작정이다.
주낙영 시장은 "기후위기 속에 탄소중립 실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됐다"며 "경주시민도 경각심과 책임감을 갖고 실질적인 탄소중립을 실천해 보다 나은 미래를 우리 후손들에게 남겨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