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울릉도아리랑보존회는 지난 23일 `제1회 울릉도·독도아리랑 전국 경창대회 및 제2회 울릉도·독도아리랑 축제`를 개최했다.  대회는 △명창부 △일반부 △단체부 △학생부 4개 부문으로 1차 예선 심사는 비대면 동영상(3분 이내), 2차 본선은 명창부, 일반부는 현장 심사, 단체부와 학생부는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순위를 결정했다.  본선 심사는 심사위원장 김연갑 선생 등 5명의 심사위원이 참여했으며 심사 결과 △명창부 영예의 대상은 서금옥(정선아리랑), 금상 김진순, 은상 이상우, 동상 김한나, 장려상 김학영·최문희, 특별상 김정희가 차지했다.  △일반부는 금상 조여화(대구), 은상 신재희, 동상 박선영, 장려상 최경남·윤정원, 특별상은 이태자·최은주가 △단체부는 금상 정선아리랑(박명화 등 10명), 은상 성주의병아리랑(백기선 등 8명), 동상 영천아리랑(문숙자 등 6명), 장려상 영천아리랑(강영순 6명)이 받았다.  △학생부는 금상 최정원, 은상 강효주, 동상 이예나, 장려상 권도연, 특별상 일본 동경한국학교(5년 37명), 유민아(일본), 김채아(미취학), 최이정(미취학) 어린이 등이 수상했다.  특히 이번 대회에 참가한 일본 동경한국학교(5년 37명) 학생들이 참가해 지정곡 울릉도아리랑과 본조아리랑을 불러 민족의 소리 아리랑의 국제적 위상과 함께 울릉도·독도아리랑 전국 경창대회의 의미를 더했다.  심사위에 따르면 이들 동경한국학교 학생들의 소리를 심사한 결과 상급 점수를 득했으나 대회 규정에 따라 특별상으로 대처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울릉도에서 최초로 개최한 아리랑 전국대회로 민족의 삶과 애환, 희로애락을 소리로 표현한 민족의 소리 `아리랑`과 울릉도의 소리 `울릉도아리랑·독도아리랑`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마련됐다.  울릉도아리랑은 지난 1980년대 김재조 옹(울릉읍 사동3리)이 구연한 것을 김연갑(아리랑연합회 이사장) 선생이 채록했으며 고 정은하(전국아리랑전승자협의회 회장) 명창이 소리로 재현했다. 이후 고 정은하 명창으로부터 황효숙(울릉도아리랑 전승자) 울릉도아리랑보존회 회장이 사사받아 전국 경창대회와 공연 등을 통해 대내외에 널리 알리며 울릉도아리랑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전수하며 현재에 이르렀다.  울릉도아리랑은 1·2·3편의 가사와 소리를 통해 과거 울릉도 주민들의 삶을 이해하며 아름답고 신비로운 관광 섬의 가치와 함께 우리가 살고 있는 곳, 국토의 동단 울릉도·독도에 아리랑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한편 아리랑의 대부 김연갑(아리랑학교 교장) 선생이 행사에 앞서 전국 팔도아리랑, 울릉도아리랑 관련 특강을 통해 우리 아리랑의 의미와 정의·역사를 교육해 큰 호응을 얻었다.  정성환 대회장은 "제1회 울릉도·독도아리랑 전국 경창대회를 개최하게 됨을 매우 뜻깊게 생각하며 울릉도아리랑보존회와 독도아리랑보존회, 영남민요아리랑보존회울릉지부, 울릉도토속민요연구보존회 등 대회 관계자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황효숙 회장은 "이번 제1회 울릉도·독도아리랑 전국 경창대회를 통해 울릉도아리랑·독도아리랑이 팔도와 국외 등으로 널리 전파됐을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남한권 군수는 "소중한 순간 모두가 함께 모여 아리랑의 아름다움과 전통을 나누는 제1회 울릉도·독도아리랑 전국 경창대회 개최를 축하한다"며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정신과 아름다움이 담긴 전 세계에 전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통을 선보이고 아리랑 소리가 울릉도의 아름다움을 더욱 강조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대영 기자gst300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