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은 24일부터 내년 1월 28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 특별전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경주 남산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통일신라기 금동제 경합(經盒)과 그 안에 들어있던 범자(梵字)와 한자(漢字) 수구다라니를 최초로 공개한다.
수구다라니는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라고도 하며 다라니를 외우는 즉시 바라는 바를 모두 얻을 수 있다고 전해진다. 몸에 지니기도 하고 후대에는 불상의 복장에 넣거나 탑에 봉안하는 등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확대되고 유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19년에 조선총독부 입수 당시 수구다라니는 범자 다라니와 한자 다라니 두 개가 하나의 종이에 같이 배접된 직사각 형태(32.9×46.8cm)였다.
조사 결과 각각 수구다라니임을 재확인했고 다시 보존처리를 거치면서 분리, 복원해 범자 수구다라니(29.7×30.3cm)와 한자 수구다라니(29.5×30.9cm)는 원래 형태인 정사각 모양이 됐다. 두 다라니는 불교 고문헌 연구자의 번역 및 판독, 적외선 사진 촬영, 고화질 스캔 및 사진 촬영 등 수많은 조사 과정을 거쳐 원래의 모습을 찾았다. 또한 두 다라니의 지질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 만든 닥종이에 쓴 필사본 다라니로 확인됐다.
한편 수구다라니가 들어있던 금동 경합은 조사 결과 통일신라 8세기~9세기에 제작된 다른 금동 합이나 사리기와 제작방식 및 기법 등이 유사해 통일신라기에 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금동 경합 안에 봉안된 다라니도 같은 시기에 제작했을 것으로 추측되며 두 개의 다라니는 우리나라에서 제작한 가장 오래된 필사본 수구다라니임이 증명된 것이다. 수구다라니는 지난 2020년 경주 남산을 주제로 학술대회에서 처음 소개됐다.
한편 수구다라니를 널리 알리기 위해 오는 11월 21일부터 12월 12일까지 매주 화요일 오후 2시부터 선착순 100명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그 외 다양한 행사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