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낙영 경주시장과 원전소재 지방자치단체 행정협의회(울진군·경주시·기장군·울주군·영광군, 이하 원전소재 지자체 행정협의회)는 12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신속 제정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해당 상임위와 법안발의 의원들에게 전달했다.    원전소재 지자체 행정협의회는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손병복 울진군수와 주낙영 경주시장, 강종만 영광군수, 박종규 기장군 부군수, 김석명 울주군 부군수가 참석한 가운데 제32차 원전소재 지방자치단체 행정협의회를 개최하고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의 신속한 제정 촉구를 위해 공동으로 건의하기로 협의했다.    회의를 마친 원전소재 지자체 행정협의회는 곧바로 국회 소통관에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사용후핵연료와 함께 살아가야 하는 원전소재 주민들의 입장을 호소하고,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제정을 통한 건식저장시설의 영구화 방지 및 건식저장시설 설치로 인한 지자체 지원 근거 마련 등을 담은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이어 관련법안을 발의한 국민의힘 김영식(구미시을)·이인선(대구 수성구을) 의원, 국회 산업통상위 간사 한무경 의원(비례),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의원(전남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등에게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신속 제정 촉구` 공동건의서를 전달했다.    공동건의서에는 △고준위 방폐물 관리정책의 최우선 당사자는 부지공모와 주민투표를 통해 확정된 주민으로 고준위 방폐물 관리위의 주민대표 참여보장 △원전소재 지자체 및 고준위 방폐물 관리시설 부지적합성 기본조사 후보지서 제외 △고준위 방폐물 중간 및 영구처분시설 부지선정과 건설 및 운영 전반에 관한 일정을 특별법에 명시한 후 사용후핵연료의 원전부지 내 저장시설 비영구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또 △원전부지 내 신규 저장시설은 원전 지역주민들의 동의절차를 거쳐 설치하고 저장용량은 최초 운영허가(설계수명) 기간 내 발생량으로 한정할 것 △원전부지 내 저장시설을 설치 또는 운영 중인 지자체에 대해 저장용량, 기간 등을 고려해 소급 연동한 특별지원금을 보장할 것을 골자로 한다 등의 내용을 담았다.    주낙영 시장은 "원전 운영의 필수시설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건설을 미루는 것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역사에 죄를 짓는 일"이라며 "법적 구속력을 가진 로드맵을 마련해 중간 및 영구처분시설을 조속히 건설하는 것이 현재 운영 중인 임시저장시설의 영구화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인 만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의 신속한 제정을 촉구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원전소재 지방자치단체 행정협의회는 원자력발전소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현안문제에 대한 공동대처와 협력을 위해 만들어진 협의체로 원전소재 기초지방자치단체(경주, 기장, 울진, 울주, 영광)로 구성돼 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