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위원 이만희 의원은 올해 산불 발생건수가 역대 최대 산불이 발생했던 지난해 통계를 웃돌고 있는 가운데 산불진화헬기 야간 운용을 위한 실질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11일 밝혔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산불은 총 2874건이 발생한 가운데 피해규모는 3만2632ha로 피해규모는 축구장 4만5703개로 이는 서울시 면적의 절반(53.8%)에 달한다. 특히 올해 3월까지 산불은 총 349건이 발생했는데 역대 최대 산불이 발생했던 지난해 동기간 발생건수인 313건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산불발생에 의해 산불 주무부처인 산림청의 진화 헬기 출동 또한 동기간 677건에서 929건으로 3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작 야간 산불진화 출동건수는 단 2건으로 밝혀졌다.
이는 산림청이 보유한 산불진화 헬기 운용역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 48대 중에서 야간 진화투입이 가능한 헬기는 국내산 수리온 헬기 단 1대뿐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산림청은 야간 산불진화 투입을 위해 최신 헬기 5대를 도입했는데 이 중 수리온 기종 1대를 제외한 나머지 미국산 4대는 도입 당시 국내외 야간산불 진화를 위한 운영사례가 전무하며 해당 기종의 비행 매뉴얼조차 계기비행을 금지하는 기종을 야간 산불진화용으로 도입한 것으로 드러나 향후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산림청은 미국산 S-64 헬기 4대 도입에 당시 8563만달러(현재 환율 적용 시 약 1128억원)를 들였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국내 여건 및 훈련 등을 통해 야간비행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라 밝혔으나 산림청 자료에 따르면 동 기종들에 대해 최근 5년간 야간 산불진화 훈련은 단 한차례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밝혀진 한편 미국산 S-64 헬기 기종들이 가장 많이 배치된 산림청 본부의 조종사 중 16.6%(2명)는 야간운용에 필요한 계기비행 자격조차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만희 의원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산불진화를 위해 야간용 장비의 확충과 조종사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전국 17개 시·도청을 소관으로 두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위원으로서 산불진화에 있어 향후 범정부적 산불진화 대응역량 개선에 노력하겠다"고 다짐을 전했다.
정식열 기자jsy9292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