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2일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를 기록했다고 한다. 농·축·수산물의 가격 상승 폭이 커지면서 오름세를 보였고 여전히 높은 기름값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료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버는 대로 거의 다 쓰는 저소득 계층의 살림에 타격이 크겠다. 경제 전체로는 내수 소비가 더욱 위축될 것 같다. 가계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조짐은 이미 뚜렷하다.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6월 소매판매지수가 전달보다 0.9% 하락하며 넉달 연속 떨어졌다.  정부는 오는 9~10월이 물가 상승의 정점이 될 것으로 봤지만 고공행진으로 이어진 물가상승이 올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문제는 이 같은 물가 상승세를 잡을 뾰족한 대안이 없어 보인다는 데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는 정부대로, 국회는 국회대로,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근원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권력 다툼과 무기력에 빠져 있어 한숨이 나온다.  정부와 정치권은 외환위기 이후 맞닥뜨린 최대 경제위기에 경각심을 두고 적절히 대응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광역 시·도와 시·군들도 가능한 자원과 역량을 최대한 사용해 물가 상승의 고삐를 잡아 살인적인 생활고에 내몰리고 있는 서민들의 삶을 열어줘야 할 것이다. 6월 소비자 물가가 6% 상승에 들어서면서 상승세를 이어갔는데 그보다 0.3% 더 올랐다. 외환위기로 IMF 체제를 겪었던 1998년 11월 6.8% 상승 이후 2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다.  물가 상승에는 기름값 상승 폭이 35.1%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1년 전보다 경유는 47% 올랐고 휘발유는 25.5% 올라 공업제품 물가를 8.9% 끌어올렸다. 반면 정유사들은 기름값의 급등을 틈타 사상 최대의 이익을 남겨 대조를 보였다. 농·축·수산물도 7.1% 올랐다. 그중 배추가 1년 전보다 72.7%, 오이가 73% 폭등했다. 전기·가스 요금은 지난 4월부터 요금이 인상돼 15.7%나 올랐다. 서비스 물가도 4% 올랐는데 외식 서비스업 물가가 1년 전보다 8.4% 올랐다. 치킨이 11.4%가 올랐고 생선회가 10.7% 올랐다. 국제항공료는 23%나 올랐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0%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3%를 넘어서고 올해 3월 4%, 5월 5%를 기록한 뒤 6월 6%에 이르렀다.  서민들의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더 높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9% 상승해서 역시 1998년 11월 이후 최고치다.  근원물가의 경우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지수가 4.5%를 기록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이날 "그간 물가상승을 주도해온 국제유가가 다소 하락하고 유류세 인하 등이 더해지면서 국내 주유소 휘발유 평균 가격이 지난달 31일 기준 1800원대로 진입하는 등 석유류 물가 상승 압력이 둔화된 모습"이라며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는 상황"이라는 안이한 진단을 내놨다.  이어서 "정부는 민생·물가안정 대책의 차질 없는 시행과 점검·보완을 통해 효과가 신속히 체감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대응방안을 반복했다.  고물가와 경기침체, 고금리가 현실화한 만큼 정부는 지역경제 위축에 대한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특히 취약계층들은 고물가 상태가 길어질수록 삶에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모든 경제주체들의 고통분담이 절실한 시점이다. 국민을 앞세워 표심을 호소한 이들은 모두 어디로 간 것일까.  국민이 불행한데 정부와 국회와 지자체가 그것을 뼈아프게 느끼지 못한다면 국민들은 누구를 믿고 살아가야 할지 막막해진다. 이 점을 정치권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