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이건희 소장품관(이하 이건희 기증관) 건립후보지로 서울 지역 2곳을 선정·발표하자 함께 유치전에 나섯던 전국 지자체들이 일제히 정부를 성토했다.
7일 황희 문체부장관은 "서울 용산과 송현동 부지 모두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성과 기반시설을 갖춘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인근에 있다"며 "후보지들이 연관 분야와의 활발한 교류와 협력, 상승효과를 기대할만한 충분한 입지여건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비수권 지자체들은 정부가 지방을 버렸다며 일제히 반발했다.
`이건희 컬렉션` 유치를 기대했던 비수도권에서는 특히 `공모 없는 결정`, `지역균형발전 역행` 등을 문제삼으며 지방을 무시한 처사라는 입장을 내놨다.
부산시는 문화 분권과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지역 유치를 요구한 지역들에 대한 무시이자 최소한의 공정한 절차도 거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이라고 유감을 표했다.
삼성 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의 출생지가 있는 경남 의령군도 애당초 서울을 염두에 두고 답을 정했고 생색내기로 지방에 유치전을 펼친 것이 아니냐 며 이번 발표에 지방은 안중에도 없었고 배려도 없었다고 꼬집었다.
오태완 의령군수는 "의령에 무조건 건립해야 한다는 지역이기주의로서 미술관 건립을 주장하는 것은 애초부터 아니었다"면서 "하지만 정부의 문화분권과 균형발전의 결론은 언제나 서울로 향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구시도 비수도권 국민 모두에게 깊은 상처와 실망을 안겼다며 반발에 가세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6월 영남권 5개 자치단체장이 합의하고 요구한대로 비수도권을 대상으로 공정한 절차에 따라 대상지를 다시 선정해야 한다"며 "유치를 신청한 다른 지자체와 연대해 문체부의 부당한 입지 선정에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 정치권 등에서도 비수도권 2800만 국민들의 문화 향유권을 완전히 짓밟은 행태로 유치전에 뛰어든 지역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매우 불합리한 처사라고 반발했다.
삼성 그룹과의 연고가 없는 지제체들도 공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원도는 공모를 거치지 않은 이런 방식의 결정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비판했다. 의정부시는 경기 북부의 지역균형발전 기회를 놓쳤다며 아쉬워했다.
세종 범시민추진위는 "국내 문화예술 시설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에서 문화적 기회균등 차원에서 아쉽다"며 "문재인 정부가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을 내세우면서 수도권 편향적인 결정을 내려 실망스럽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