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그동안 지역산업의 체질 개선을 통한 신산업 육성을 위해 기울인 노력의 결과 지금 포항은 기업의 연구개발, 실증, 공장착공으로 이어지는 `기업투자 선순환 선도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13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이강덕 시장, 정해종 시의회 의장과 최삼룡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을 비롯해 ㈜바이오파머 김원묵 대표이사와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시와 ㈜바이오파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간 460억원 규모의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제약기술 신시대를 열어가는 ㈜바이오파머는 이번 협약을 통해 오는 2024년까지 460억원을 투자해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내에 2만400㎡ 규모의 신약개발 및 제품생산을 위한 공장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강덕 시장은 "기업의 혁신성장은 기술력에서 나온다"며 "바이오파머가 갖춘 기술력이 지역의 제약바이오 분야 산업생태계를 기반으로 더욱 경쟁력을 갖추고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바이오파머는 포항시가 지역 숙원사업으로 지난 2019년 6월 전국 최초로 지정받은 과학기술기반의 혁신성장 플랫폼인 포항강소연구개발특구 `제1호 연구소 기업`이다.
일명 `떡돌`이라 불리는 포항지역의 고유 점토광물인 벤토나이트를 활용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신약개발 기술특허를 이전받아 체내 흡수율을 높인 간암 치료제 등에 대한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바이오파머가 입주하게 될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는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이인리 일원 147만㎡ 규모로 조성되고 있다. 경북도 제2청사인 환동해지역본부와 함께 신약개발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급 연구기관인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국내 최초 `식물백신기업지원센터`, 미래선도형 창의 공간으로 청년 창업 기회 제공을 위한 `포항지식산업센터`등이 유치돼 있다.
뿐만 아니라 ㈜한미사이언스가 포항시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내 투자를 위한 세부 사업을 구상 중으로 포항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에 있어 앵커기업으로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정수 기자gst3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