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발족식을 6일 오후 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갖고 안동 봉정사를 비롯한 영주 부석사, 양산 통도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등 한국의 전통산사 7개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본격 준비에 들어간다. 한국의 전통산사 세계유산등재추진위원회 발족식에는 나선화 문화재청장을 비롯해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 등재 대상 사찰이 소재한 5개 광역단체장과 7개 자치단체장, 7개 전통산사 주지스님 등이 참석해 등재를 위한 협약을 맺었다.등재신청서의 작성은 2016년 말까지 완료하고 2017년 세계유산위원회에 등재신청서를 제출하면 같은 해 유네스코로부터 위임 받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전문가 실사를 거쳐 이듬해인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되게 된다. 한편 한국의 전통산사는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를 바탕으로 중국과 동아시아적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한국만의 독창적인 선?교 융합의 통불교적사상(종파와 사상에 관계없이 모두가 성불의 길로 회통한다는 사상)을 오늘날까지 유지 계승하고 있으며, 하늘과 땅과 사람(天地人)을 일체로 하는 자연경관에 전통건축의 아름다움을 융합한 한국전통 건축미의 전형으로 평가 받고 있다. 안동시는 2010년 하회마을 세계유산 등재에 이어, 2016년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세계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으며, 2018년 봉정사를 세계유산에 등재하게 되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만 안동을 대표하는 하회마을, 도산서원?병산서원, 봉정사까지 등재하게 되는 쾌거를 올리게 된다.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하고 있는 ‘유교책판’이 2015년에 세계기록유산등재를 앞두고 있으며,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인류무형유산에 등재 되게 되면 유네스코 주도하에 있는 3대 카테고리(세계유산, 세계기록유산, 인류무형유산)를 완벽하게 보유하게 되는 세계 최초의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윤재철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