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임박해오면서 대구·경북 일부 지역 유권자들 사이에서 지역의 정서상 텃밭이라는 이유 만으로 특정정당이 낙점한 인사가 당선되는 낡은 관례가 되풀이되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일어 정당 공천을 신청한 일부 예비후보들이 긴장하고 있다. 이 같은 목소리는 부적격한 후보라 할지라도 특정정당의 전략적인 공천이 지역 여론에 상관없이 당선으로 이어지는 잘못된 풍조를 막겠다는 것으로 소이 물갈이를 통해 새 인물을 발굴할 수도 있음도 내포하고 있어 오는  6·4지방선거에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선거철만 되면 선거 후보자들의 무분별한 선심성 공약이나 중앙당의 영향력 행사, 지역주의 등이 사회의 갈등을 양산시키고 있어 유권자의 정치의식 수준을 높일 것을 주장하는 이들 시민들은 지방선거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풀뿌리 민주주의` 인 만큼 유권자의 선택이 매우 중요함을 역설해 이 같은 여론이 확산될 시 오는 6·4 지방선거의 후보 당락에도 큰 파장을 몰고올 것으로 관측된다. 또 지역의 뜻있는 시민들 사이에서도 우리나라의 지방선거는 중앙정치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정책선거가 아닌 정당과 인물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어 지금처럼 중앙정치의 영향이나 지역구 국회의원의 입김이 지방정치에 지나치게 작용할 경우 유능한 지역일꾼을 뽑는데 한계가 있음을 꼬집었다. 때문에 오는 6·4지방선거에 출마중인 후보자들이 중앙정치의 눈치를 살피지 않고 오직 지역발전을 위한 진정한 봉사자로서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 전문성과 윤리적 자세 및 능력 검증이 우선되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유권자가 정당을 보고 투표하거나 정에 이끌려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일이 없도록 지역발전에 필요한 경쟁력과 정책적 비전을 갖고 실천하는 후보를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 이 같은 여론이 경주 지역에도 싹터면서 후보들의 도덕성과 정체성, 역량은 물론 어떤 비전을 지니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자리가 필요한 만큼 서둘러 정책토론회 자리가 마련돼야 함을 지적했다. 특히 선거때 마다 공천 잡음이 불거지고 있는 후진성과 사고지역 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도록 지역을 위한 참 일꾼을 뽑아야 한다는 여론도 지역 정가사이에서 흘러나와 50여 일을 남기고 있는 이번 지방선거에 개혁의 새바람이 불어올지에 대해 관심도 모아지고 있다. 여기에 최근 새누리당 공천 컷오프에 탈락한 경주시장 후보들의 연대를 통해 자신들이 지지하는 후보 밀어주기 조짐이 제기돼 이 같은 여론에 무게가 실리면서 경주시장 선거가 오는 6·4 지방선거에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박삼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