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식 경북도의회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장이 지난 20일 경북도를 대표해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제2기 지역소멸대응특별위원회 영남권 부위원장으로 선임됐다.    저출생·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고 전국적으로 지역소멸 위험이 커져감에 따라 지난해 5월 대한민국시도의장협의회에서 `지역소멸대응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지역소멸대응특별위원회는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지역소멸대응특별위원회 규정`에 따라 설치돼 전국 광역시도의회 의원 총 17명이 지역소멸 대응 관련 정책개발, 연구, 관련 제도 개선 및 방향성 제시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  이형식 위원장은 앞서 경북도의회 제12대 후반기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임돼 경북의 인구구조·지역 산업 및 문화 등 여러 방면을 분석해 경북도의 지역소멸 문제에 대한 집중적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이 위원장은 경북도의회 제12대 전반기 지방분권추진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그간 지역의 실질적 발전 방안 마련에 힘써왔으며 기획경제위원회 및 예결산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의 신산업 발굴, 기업유치 등에 대한 적극적 모색을 통해 지역 발전, 인구감소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정책 대안 제시에 앞장서 왔다.  이형식 위원장은 이번 `제2기 지역소멸대응특별위원회` 첫 회의에서 "경북도는 지난 2016년 이래 지속적으로 인구자연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합계출산율은 2023년 기준 0.86명에 그쳐 지역소멸의 위험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경북도의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해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고 타 지자체와의 연대, 협력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대한민국시도의장협의회 제2기 지역소멸대응 특별위원회 영남권 부위원장으로 선임된 만큼 경북과 영남권역 전체의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생활인구 유입 대책 확대, 저출생 극복, 일자리 창출 등 실질적인 대안 마련에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다음 `제2기 지역소멸대응특별위원회` 회의는 오는 12월 중 경북도의회 주관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