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에 경남 김해가 최적지라는 연구용역결과에 대해 경북도의회가 왜곡된 연구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9일 경북도의회는 기자실에서 대변인 발표를 통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고분수에서 전체의 57%를 차지하고 고분군 면적에서는 44%를 차지한다며 고령군이야말로 통합관리기구 설립의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이번 연구용역은 국가유산청에서 진행한 용역이 아닌 통합관리지원단의 연구용역이라 연구기관과 용역의 신뢰성에 큰 의문이 든다며 가야고분군을 소유한 영호남 7개 시·군 전체를 철저히 무시하는 일이라고 했다.  또한 기구설립위치를 서열화해 지역간 갈등을 유발하는 행위를 용납할 수 없을 뿐아니라 불화를 조장하는 허구투성이 용역 결과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박규탁 대변인은 "통합관리기구 설립 지역은 가야고분에 대한 연속성과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충분히 고려한 지표를 반영해 선정돼야 한다"며 "국가유산청은 적극 나서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경남 김해시의회는 지난 2일 열린 제265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통합관리기구 경남 김해시 설치 촉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는 등 통합관리기구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경남 김해시도 지난달 29일 세계유산 가야고분군 통합관리기구로 선정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세계유산 가야고분군이 있는 관계 지자체가 공동 설립한 세계유산 가야고분군 통합관리지원단이 연구용역을 거쳐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7개 시·군(김해, 함안, 고성, 창녕, 합천, 고령, 남원)에 분포돼 있는 연속유산인 가야고분군의 통합 보존·관리·활용 위해 7가지 입지 선정지표 가중치 설문조사 반영 용역 최종 결과 김해시가 통합기구 입지 최적지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7가지 입지 선정지표는 인구규모와 지방세규모, 지역총생산, 인구증가율, 재정자립도, 인구밀도, 관리 이동거리 등이다.  용역 결과 통합기구 설립 형태는 재단법인(지자체 공동)으로 조직·인력은 1국(사무국 1명)에 1실(기획협력실 3명)과 3팀(경영관리팀 3명, 교육홍보팀 4명, 보존연구팀 4명)으로 제시됐다.  지난해 9월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 이후 유네스코는 지자체별 보호·관리 체계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일관성 있는 관리의 필요성을 들어 연속유산을 보존·관리·홍보할 통합기구 설치를 권고했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