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는 26일 대구경북통합과 관련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양측이 각각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서로의 입장을 설명하는 등 갈등을 겪고 있다.
경북도는 현재 대구시와 이견을 보이는 부분에 합의가 어렵다면 당장 중단하거나 장기과제로 넘겨서는 안된다며 기간을 정하지 말고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고 밝혔다.
대구시는 경북도가 이달 28일까지 대구시의 제안에 동의하고 오는 30일 합의서에 서명하지 않을 경우 장기과제로 전환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시가 제시한 최종 합의안은 통합 이전에 시·도간 반드시 합의해야 할 최소한의 사항이며 이에 대한 합의 없이 결정을 유보한채 통합을 추진할 경우 이후 더 큰 갈등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는 현재 대구시와 가장 쟁점으로 해결되지 않고 있는 청사문제, 시·군·구 권한이양 문제 등의 합의가 되지 않는데 제3자, 전문가, 지역과 시·도민 대표 등이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해 공론화 절차를 계속 밟아나가자고 주장했다. 또한 현재 시·도 간 행정적, 절차적 합의가 어렵다고 해서 역사적 책임인 통합절차를 중단할 수 없다며 장기과제로 돌리지 말고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통합과 관련해 지난 5월 17일부터 다양한 간담회와 용역작업을 하는 등 작업을 해왔으며 경북은 272조문에 249개 특례를, 대구는 268조 문에 180개의 특례를 만드는 등의 특별법안을 만들어 왔다.
그동안 대구시와 경북도는 중앙정부의 권한이양을 통한 자치권 대폭 강화, 지방재정의 확실한 보장과 자율성 확보 등 이견없이 합의한 부분이 있으나 통합특별시와 시·군·구 권한 확대 건, 청사위치 등 관할 문제, 소방과 교육 등의 문제는 이견을 보여 합의에 실패했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