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의료 환경 개선과 시민 건강권 보장을 위한 국립의과대학 설립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국회 토론회가 지난 26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경북 안동지역의 국립의대 설립을 촉구하며 지역 의료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장으로 마련됐다.행사에는 권기창 안동시장, 정태주 안동대학교 총장, 김형동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를 비롯해 의료 전문가와 범시도민단체 관계자 등 45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토론회에서는 정태주 안동대학교 총장이 좌장을 맡아 경북지역 국립의대 설립의 당위성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진행했다. 이어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김주연 교육부 인재양성정책과장, 방영식 보건복지부 의료인력정책과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지역 간 의사 부족과 필수 의료 공백 해소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했다.특히 경북의 의료 인프라가 전국 최하위 수준이라는 점과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의료 서비스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 부각됐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가 단순히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강조했다.살펴보면, 경북지역은 오랜 기간 의료 불평등에 시달려왔다. 안동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다. 의대 설립을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을 비롯해 정책연구, 대규모 시민 궐기대회 등을 통해 의과대학 유치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였다.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날 “지방소멸 위기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부실한 지역 의료 인프라”라며, “공공보건의료 인프라 구축과 의료 인력 확보는 지역 소멸을 막기 위한 선제적 방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토론회가 국회, 정부, 지자체, 시민 모두가 의대 설립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한뜻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정태주 안동대학교 총장은 “경북지역 국립의대 설립은 시민 건강권 보장뿐만 아니라 지역 생존의 문제”라며 “이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안동대학교는 의료 취약 지역의 의료 불평등 해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속적인 노력을 약속했다.이번 토론회는 국립의과대학 설립의 타당성을 공론화하고 지역 간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점이 됐다. 국립의대 설립이라는 지역의 염원이 국가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경태 기자tae6661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