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들 우리 시(詩)가 교과서 나왔데이!". 대통령 연하장 글꼴을 만들고 `K-할매`라고 불리며 래퍼로도 활동했던 칠곡할매들이 또 한 번 대형 사고를 쳤다.    칠곡군은 할머니들의 시와 그림이 오는 2025년부터 사용될 교과서 점유율 1등 출판사인 천재교과서의 `2022개정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대표저자 노미숙)`에 수록된다고 25일 밝혔다.  교과서 주인공은 칠곡군 약목면에 거주하며 한글학교에서 여든이 넘어 한글을 깨치고 시를 썼다. 고인이 된 강금연·김두선 할머니를 비롯해 이원순(87)·박월선(96) 할머니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에 태어나거나 6·25전쟁을 겪으면서 가난과 여자라는 이유로 배움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할머니들의 시는 `시가 뭐고`란 시집으로 발간됐고 약목면 복성리 도시재생구역 `벽화 거리`에 소개되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교과서에는 벽화 거리에 있는 할머니들의 시와 그림을 게재하며 `70여년 동안 자신의 이름조차 쓰지 못했던 할머니들은 한글을 배우며 어느덧 자신의 삶까지 시로 표현했다`라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故 강금연·김두선 할머니의 시 `처음 손잡던 날`, `도래꽃 마당`과 이원순·박월선 할머니의 `어무이`와 `이뿌고 귀하다`의 전편을 두 면에 걸쳐 실었다.  칠곡군은 지난 22일 김재욱 군수, 김태희 군의원, 이원순 할머니가 참석한 가운데 교과서 수록을 자축하고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실버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칠곡 할머니들의 활약상을 재조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이 할머니는 "80이 너머도(넘어도) 어무이(어머니)가 조타(좋다). 나이가 드러도(들어도) 어무이가 보고 씨따(싶다). 어무이 카고(하고) 부르마(부르면) 아이고 오이야(오냐) 오이야 이래 방가따(방갑다)"라며 교과서에 실린 자신의 시를 낭송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 군수는 지난 1년 동안 교과서 수록을 통한 지역의 가치를 높이고자 출판사와 긴밀한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  칠곡군은 교과서 수록을 알리는 현수막을 내걸고 `교과서 거리` 스토리를 입혀 약목면 도시재생구역 정비에 나설 계획이다.  이 할머니는 "교과서 수록을 누구보다 기뻐할 언니들이 고인이 되거나 거동이 불편해 안타깝다"라며 "어린 학생들이 우리 할머니들의 시를 읽으며 부모님께 효도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김 군수는 "칠곡군에는 호랑이는 가죽을, 칠곡할매들은 시를 남긴다는 말이 있다"라며 "칠곡 어르신들의 열정을 알리고 초고령화 시대 주류 문화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실버 문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칠곡군은 할머니들의 시를 모아 `시가 뭐고`,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뭐`, `작대기가 꼬꼬장 꼬꼬장해`, `내친구 이름은 배말남 얼구리 예뻐요` 등의 시집을 발간했다.  송홍달 기자song03170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