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저녁으로는 꽤 쌀쌀해졌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경우 강변이나 산악 지역 등 수분이 많은 곳의 도로는 상습적으로 안개 구간이 발생한다.  안갯길은 운전자를 곤란하게 만드는 위험한 도로 환경 요소 중 하나이다. 시야 확보가 어려워 전방 도로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 높은 주의와 세심한 운전 습관이 필요하다.  도로교통공단의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안개 낀 날 교통사고 통계를 보면 505건의 사고가 발생해 45명의 숨지고 721명이 다쳤다. 이는 맑은 날 교통사고 치사율 1.2%에 비해 8배 이상 높은 8.9%에 달한다. 그만큼 한번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인명피해도 크다는 말이다.  이런 위험천만한 안갯길 어떻게 대처하면 될까. △첫째 감속 운행과 안전거리 유지  안개가 짙을 경우 운전자는 속도감이 떨어지므로 차량 계기판을 통해 실제 속도를 확인하고 감속하면서 앞 차량과의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도로교통법 제17조에도 안개로 인해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 제한 속도의 20~50% 이하로 감속 주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다고 급브레이크를 잡게 된다면 뒷 차량과의 연쇄 추돌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서서히 감속을 해야 한다. △둘째 낮에도 전조등, 안개등 점등 필수  안개 낀 날은 전조등과 안개등을 점등해 전방 시야 확보와 상대 운전자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알릴 필요가 있다. 상향등은 안개의 물방울 입자가 빛을 분산, 흡수시켜 오히려 시야 확보를 방해하므로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셋째 경음기 사용  주행 중 커브길이 나타나면 경음기를 울려 다른 운전자에게 차량이 있음을 알려주는 것도 좋고 창문을 열어 외부 소리를 듣는 것도 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끝으로 차량 앞 유리 김서림 방지  안개는 주로 기온이 내려갈 때 발생하는데 이때 차량 내·외부 온도 차로 인해 차량 앞유리에 김서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 역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방해하는 위험 요소로 에어컨을 앞 유리 방향으로 켜 내부 온도와 습도를 낮춰 김서림을 방지해야 한다.  사실 보통의 운전자라면 짙은 안갯길을 1년에 한 번 만날까 말까하다. 그런 만큼 대처법을 모르고 있다면 갑작스런 안갯길에서 운전자는 당황해 위험요소에 제대로 대처하기가 어렵다.  본격적인 가을 행락철인 10월 `위험천만 안갯길 안전수칙`을 기억해 뒀다가 즐겁고 안전한 여행길이 되길 바라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