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자연의 친숙함이 명대의 풍부하고 성숙된 화조화의 특성에 다양한 표현들로 이어져 왔다.  서법(書法)의 전서(篆書), 예서(隸書), 초서(草書)의 필력이 화초와 사군자의 특징에 반영됐다.  거친 바위의 비백(飛白) 표현과 구륵, 몰골, 진채 그리고 담채의 유연한 기법들이 송, 원대의 문인화가 작품에서 감상할 수 있다.          예술의 성장은 역사성, 시대성, 경제성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발견돼 왔다. 예술문화 속에서 두루마리 권(卷)의 독특한 예술 양식은 독자적인 중국예술의 특성을 보인다.  시(詩). 서(書), 화(畵)가 어우러지는 종합예술의 미려한 지적 활력들이 화조화를 이끌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