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앞두고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기업들이 생각하는 적정 기준금리 수준은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지난해 1월부터 21개월째 3.5%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 제조기업 225개 사(응답 150개 사)를 대상으로 적정 기준금리 수준, 고금리로 인한 애로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해 `금리 인하에 대한 지역기업 인식`을 조사(기간 8월 28일~9월 3일)했다.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87.4%가 현 기준금리에 대해 `높다`라고 답했다.
기업에서 인식하는 적정 기준금리 수준과 관련해서는 응답기업의 36.7%가 `2.5%`라고 응답했으며 `2.25% 미만`과 `2.25%`도 각각 24.0%와 14.0%를 차지하는 등 4곳 중 3곳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3.5%) 보다 1.0%p이상 인하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기간 동안 경험한 어려움 `기준금리가 높다(매우높다+높다)`라고 응답한 131개 사 대상으로 최대 2항목까지 복수 응답으로는 `이자비용 부담에 따른 자금사정 악화`(78.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소비 위축에 따른 영업실적 부진`(35.9%)과 `신규자금 조달의 어려움`(29.8%)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금리 인하 시기는 언제로 예상하느냐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51.3%가 `올 4분기`라고 응답했으며 금리가 인하될 경우 기업들의 자금운용에 대한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4곳 중 3곳이 변화를 검토하거나 내년 경영계획에 변화를 반영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금리 인하 시 자금운용에 변화를 예상한다`라고 응답한 기업들 중 이자부담이 경감될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취할 조치는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44.3%가 `설비투자 확대`를, `부채상환`이 26.5%,`R&D 투자 확대`와 `사업구조 개편`이 각 10.6%를 차지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