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의 배터리 공장에서 불이 나 근로자 23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그동안 전기차 화재 사고로 배터리로 인한 화재시 진화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상기해 왔지만 이번 사고로 우려가 더 커지고 있다. 1차전지 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지난 24일 오전 10시 31분쯤 발생한 폭발성 화재는 순식간에 번져 23명이 사망하고 8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들 대다수가 외국인 근로자다. 이번 화재는 기후위기 속에 갈수록 산업적 비중이 커져 가는 전기에너지 관련 설비에서 발생해 그 심각성이 더하다.    앞으로 2차전지를 비롯한 배터리 공장을 증설해 가야 하는 상황에서 안전에 비상등이 켜졌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휴대전화, 노트북PC부터 전기차, 군용 장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해 충격이 더 크다.    아리셀 공장은 리튬 배터리인 `일차전지`를 제조하는 곳이다. 일차전지는 충전 없이 한번 사용 후 방전되면 폐기한다. 리튬은 불에 넣거나 고의로 분해하지 않으면 그 자체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다. 때문에 유해화학물질이 아닌 `일반화학물질`로 분류돼 대응 매뉴얼이나 안전기준이 없다.    고체 리튬은 순 산소와 결합해도 상온에서 발화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튬은 반응성이 큰 금속이어서 매우 높은 온도에 노출되거나 수증기와 접촉하면 폭발하면서 엄청난 파괴력을 발휘한다.    이번 아리셀 공장 화재도 배터리 1개에 불이 붙으면서 급속도로 확산, 대량의 화염과 연기가 발생하고 폭발이 잇따라 공장 안의 근로자들이 대피하지 못해 참변을 당했다. 공장에 리튬 배터리 완제품 3만5000여개가 보관돼 있었다니 피해가 클 수밖에 없었다.  리튬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태생적으로 화재·폭발에 취약한 편이다.  소방당국은 `금속 화재`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등 가연성 금속이 원인인 `금속 화재`는 백색 섬광이 발생하는 게 특징으로 진압된 것처럼 보이더라도 1000도 이상의 고온을 보여 매우 위험하다. 물로 진화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화재 진압이 어렵다. 물과 반응하면 염화수소, 이산화황 같은 독성 물질이 발생하고 고온에선 염소까지 만들어 위험이 더 커진다.  현재 환경부의 `화학사고 위기대응 매뉴얼` 등은 유해화학물질이 대기나 수계로 유출돼 인명·환경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리튬을 비롯한 일반화학물질 관련 사고는 소방당국을 중심으로 대응이 이뤄진다. 일차전지는 이차전지(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화재나 독성물질 등 위험성이 작다고 여겨 별도의 안전기준이 없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는 화재 가능성에 관심이 많고 보호장치도 적용되지만 일차전지는 안전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사실상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리튬 배터리 활용이 많아지는 만큼 리튬에 대한 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위험 물질인 리튬전지를 다루는 데 안전기준이 없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리튬의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작업장의 안전관리 규정과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배터리 생산업체의 총체적 안전점검도 필요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