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이 발표한 지난 2019~2023년 아파트 화재 통계 분석에 따르면 약 5년 동안 전국에서 1만 4000여건의 아파트 화재가 발생했으며 해를 거듭할수록 화재 발생률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아파트 화재 발생 시 피난 안전대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올바른 대피 행동요령을 알고 이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불나면 살펴서 대피"라는 간단하지만 기억하기 쉬운 원칙을 통해 화재 상황에서의 대피 방법을 알아보자.
첫째 자택 화재 시 대피가 가능한 경우.
계단을 이용해 낮은 자세로 지상층과 옥상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119에 신고한다.
둘째 자택 화재 시 대피가 어려운 경우.
화염이나 연기로부터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서 문을 닫고 젖은 수건 등으로 문 틈새 등을 막은 후에 119에 구조 요청을 한다.
셋째 다른 곳 화재 시 자택으로 화염·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
화재 사실을 자택에 있는 사람에게 알리고 무리하게 외부로 피난하지 않으며 세대 내에서 대기하며 화재 상황을 주시한다.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출입문과 창문을 닫고 119에 신고 후 안내방송에 따라 행동한다.
다섯째 다른 곳 화재 시 자택으로 화염·연기가 들어오는 경우.
화재 사실을 자택에 있는 사람에게 알리고 대피가 가능한 경우 첫째 행동요령을, 복도·계단에 연기 또는 화염이 있어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 두번째 행동요령을 참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런 대피요령만큼 중요한 것은 각자 거주 중인 아파트의 상태를 평소에 파악해두는 것이다.
집집마다 아파트 환경에 맞는 대피계획을 짜고 소방·피난시설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