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에 지난 한 해 동안 접수된 유실물은 3219건이고 물품 개수로는 7842개다.    이 가운데 2535건 6670개의 유실물이 반환됐고 건수 기준 유실물 반환율은 79%다. 지난 2022년도 유실물 반환율이 83%인 것에 비해 반환율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주인에게 돌아간 유실물은 지갑이 1036개(1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자제품 888개(13%), 현금 798건(12%, 7958만8000원), 가방 249개(4%) 순이었다. 주인을 찾지 못해 경찰서로 인계된 물품은 1172개였다.    반환율 감소는 현금이나 귀중품이 아닌 의류 및 교통카드 등과 같은 품목은 찾아가지 않고 블루투스 이어폰 등 소형 가전제품 사용이 늘어나면서 분실자들이 분실 장소를 특정하지 못해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공사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소중한 유실물이 주인의 품으로 돌아간 사례도 있다. 지난해 6월 60대 남성 승객이 570만원 가량의 현금 및 상품권이 들어있는 가방을 분실했다는 접수를 받았다.    역 직원들은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분실자의 동선을 확인해 분실장소로 추정되는 모든 역을 수색한 결과 영남대역에서 분실물을 찾아 유실자에게 돌려줄 수 있었다. 도시철도 이용 중 물건을 분실한 경우 승차역, 승차시간, 객실 내 차량번호와 하차시간, 차량 위치 등을 유실물센터(0543-640-3333) 또는 가까운 역에 통보하면 직원이 신속한 유실물 수배를 통해 유실물을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1호선 반월당환승역 유실물센터에서는 접수된 유실물을 공사 홈페이지(dtro.or.kr)에 유실물 사진과 함께 습득 장소, 습득일 등을 게시하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는 유실자가 직접 분실물을 신고할 수 있도록 분실물 신고란을 만들어 운영 중이다.  대구교통공사 유실물센터 직원은 "유실물 반환은 또 다른 고객만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유실물 반환을 위해 직원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고 도시철도 이용객들의 세심한 주의도 함께 당부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