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28일 교육부 주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안동시·예천군, 포항시, 구미시, 상주시, 칠곡군, 봉화군, 울진군 총 8개 시·군이 지정됐다고 밝혔다. 전국에서 총 40건이 접수됐으며 경북은 신청한 9곳 중 8곳이 지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은 선도지역과 관리지역으로 나눠지며 선도지역은 3년간 시범운영하고 관리지역은 1년 단위로 평가를 통해 보다 강화된 성과관리의 지원을 받는다. 선도지역에는 안동·예천, 포항, 구미, 상주, 울진이 지정됐으며 관리지역에는 칠곡, 봉화가 지정됐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기업 등 지역기관들과 협력해 지역발전의 큰 틀에서 공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이다.
경북도와 경북교육청은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위해 긴밀한 협업을 해왔다. 경북도 행정부지사와 경북교육청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교육발전특구 TF 추진단을 공동 구성하고 지난 1월에는 이철우 도지사와 임종식 교육감이 9개 시·군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유형별로 경북도와 경북교육청이 시·군 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특구 지정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이번에 지정된 8개 시·군은 지역의 특성에 맞는 비전과 지자체가 주도하는 교육 혁신안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과 다양한 공교육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지역 정주시스템 구축을 위해 지역산업과 연계한 지역 인재양성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한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만들어냈다.
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교육부에서 30억원에서 100억원의 재정지원과 교육관련 규제완화, 각종 특례 지정을 받는 등 공교육 혁신을 추진한다. 앞으로 교육부의 컨설팅을 통해 사업운영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며 경북도 주관 협의체를 구성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과관리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