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창(1555~1636년)이 주장한 남북종론의 새로운 비평은 명청대 회화사를 지배하게 된다.
학문의 이론격 단호함은 세력의 확장과 전통을 고수하는 자들의 갈등을 야기시켰다.
화원풍의 사실적이고 장식적인 복종화와 감정 이입의 자유로운 필치의 문인화, 남종화의 두 부류로 나뉘게 되는 미술사적 비평의 이론을 주장했다.
지적 교양과 사상의 고매함, 사물의 성찰을 통한 문인화의 표현을 최고의 가치로 주장했다.
무의식의 순간을 깨달은 남종선(南宗禪)과 단계적 수양의 깨달은 북종선(北宗禪)으로 바탕을 이뤘다.
불안정한 정치 환경에서 동기창의 남북종론을 수많은 유파들이 추종할 수 있었던 것은 미술비평에서 벗어나 중국인들의 오랜 역사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종교와 자연관에서 비롯됐음을 시사한다.
큰 시각으로는 누적된 미술사적 학문과 성숙시기에 속해 있었으며 사군자에 문인의 취를 높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