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 2021년부터 대통령을 비롯해 시·도지사, 경제부처, 재계 인사들이 발표한 신년사를 빅데이터 분석해 왔다.  올해 신년사 분석 결과 `산업`(121회, 5.3%), `경제`(119회, 5.2%), `국민`(113회, 5.0%), `기업`(109회, 4.8%), `미래`(107회, 4.7%) 등의 단어가 주로 언급됐다. 이외에도 새해(99회), 혁신(99회), 도시(97회), 세계(92회), 시민(92회) 등이 뒤를 이었다.  2023년 신년사와 비교했을 때 올해는 `산업`이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로 나타났으며 전년도와 유사하게 경제, 기업에 대한 중요성 강조가 지속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이 사라진 후 경제 회복에 초점을 맞춘 정계의 신년 메세지로 풀이된다.    먼저 중앙부처와 대통령 신년사는 `국민`(91회), `경제`(50회), `정책`(37회), `정부`(36회), `새해`(32회)`가 주로 언급됐으며 `현장`(30회), `대응`(28회), `혁신`(28회), `금융`(27회), `산업`(27회) 등도 자주 등장했다.    `글로벌`이 새로운 순위권에 진입한 것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로도 산업을 확장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지사를 비롯한 17개 시·도지사는 `도시`, `시민`, `도민`, `산업`, `미래`를 자주 언급했다.    특히 경북도의 경우 `경북`을 17회, `기회`와 `지역`을 각각 16회 언급하며 높은 순위에 자리했다. `자신감`, `행복` 등 다른 신년사에서 등장하지 않았던 단어도 등장했다.    올해도 민생과 경제 보살피기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이철우 도지사의 의지와 나아가 지방시대 주도를 위한 민간 투자유치에 주력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또 일자리 창출을 통한 저출생 극복 인구 증대 등 도민 행복을 위한 정책에 집중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경제계 그룹 중 신년사를 공개한 7개 그룹은 `기업`, `경제`, `혁신`, `사업`, `직원`을 강조했다. 이는 경제 성장성에 중점을 두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변화를 주도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한편 올해 신년사에는 `대한민국`, `글로벌`과 같은 단어가 새로 등장했는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내외적 위상이 높아지며 이를 활용해 경제를 살리고 세계적인 경제, 문화 국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이정우 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매년 신년사 분석을 통해 현 상황을 이해하고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면서 "이를 통해 경북도가 올 한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고 혁신적인 정책을 펼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